'집콕 특수' 끝…TV·배달 지고 항공·화장품 뜨고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국내 뿐 아니라 세계적으로 코로나19 대응이 점차 풍토병을 의미하는 엔데믹 단계로 접어들면서 산업별 희비가 엇갈리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난 2년간 일명 '집콕 특수'를 누렸던 TV와 인터넷 영상 서비스 OTT, 배달업은 긴장하는 반면, 화장품과 항공업계 등은 회복 기대에 들떠 있습니다.<br /><br />김종력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코로나19 사태로 '집콕족'이 늘며 호황을 누렸던 TV업계.<br /><br />하지만 엔데믹 전환과 함께 올해는 TV 수요가 12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질 것이란 전망이 나왔습니다.<br /><br />한 시장조사업체에 따르면 올해 세계 TV 시장 연간 출하량은 약 2억1,000만대, 지난해보다 약 190만대 줄어든 것으로 2010년 이후 12년 만에 가장 낮은 수치입니다.<br /><br />다만 전반적 시장 위축에도 유기발광 다이오드, OLED TV를 앞세운 프리미엄 시장은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됩니다.<br /><br />'집콕 특수'를 누렸던 OTT업계도 긴장하긴 마찬가지입니다.<br /><br />1분기 전 세계에서 가입자가 20만명 줄어든 넷플릭스는 2분기에 200만명이 더 빠져나갈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코로나19 확산과 함께 폭발적으로 증가했던 국내 배달앱 사용량도 최근 감소 중입니다.<br /><br />반면 실외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에 따라 화장품 업계는 매출 증가 효과를 보고 있고, 코로나19로 꽁꽁 얼었던 항공업계와 극장가도 봄 날을 기대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비대면 업종은 상당 부분 시장이 축소될 거 같고 동시에 대면업종은 관광서비스업 같은 그런 업종은 그동안의 부진을 딛고 상당한 회복 국면으로 진입하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."<br /><br />코로나19라는 긴 터널의 막바지에 다다르고 일상 회복에 속도가 붙으면서 다시 한 번 산업의 음지와 양지가 바뀌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종력입니다.<br /><br />#코로나19 #엔데믹 #집콕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