경무대에서 청와대까지 영욕의 70년…시민 품으로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윤석열 당선인이 취임하는 내일(10일)부터 청와대는 시민에게 전면 문을 엽니다.<br /><br />'최고 권력의 상징'으로 불리던 청와대가 영욕의 70년 역사에 마침표를 찍는 순간인데요.<br /><br />청와대의 과거와 미래를 장윤희 기자가 살펴봤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서울시 종로구, 북악산과 경복궁 사이에 있는 청와대.<br /><br />대통령이 머무는 공간적 의미 그 이상의, 야망을 가진 많은 이들이 문을 두드렸던 최고 권력의 상징이었습니다.<br /><br />청와대는 고려시대 수도 밖 궁궐인 '이궁', 조선시대 경복궁의 각종 행사와 과거 시험 장소로 쓰였던 뒤뜰에 터를 잡았습니다.<br /><br />일제 강점기에는 조선총독 관사가 들어서는 시련을 겪었습니다.<br /><br />해방 이후 이승만 초대 대통령이 인근 일대를 부르던 조선시대 옛말 '경무대'란 이름을 붙여 집무실로 사용한 것이 현 청와대의 기원입니다.<br /><br />푸른 기와집을 뜻하는 '청와대'란 이름은 1960년 윤보선 전 대통령이 일제시대와 이승만 정권과 차별화한다는 취지에서 채택했습니다.<br /><br />과거에도 청와대는 벚꽃이 만개하는 봄철에 연례 행사처럼 일반에 개방되긴 했습니다.<br /><br />그러나, 1968년 북한 무장공비가 청와대 뒷산까지 침투한 이른바 '김신조 사건'으로 청와대 개방은 중단됐고 대통령 경호는 삼엄해졌습니다.<br /><br />'구중궁궐'이란 지적 속에 역대 대통령들도 집무실 이전을 검토했지만 현실적 한계로 옮기지는 못했습니다.<br /><br />대신에 청와대 주변 시설과 산책로를 순차 개방하며 '권위주의' 상징을 내려놓고자 했습니다.<br /><br />70여년의 세월을 거슬러 이제 '청와대'의 문이 활짝 열립니다.<br /><br />10일 첫날에는 2만 6,000명이, 그 이후로는 매일 3만 9,000명의 일반 시민이 청와대를 거닐게 됩니다.<br /><br /> "일단 청와대 경내로 들어가면 제왕적 권력의 상징인 청와대를 벗어나는 것이 더욱 어려워질 것이라고 생각합니다."<br /><br />청와대를 개방하기까지 과정은 순탄하지는 않았습니다.<br /><br />단순한 공간의 이동이 아닌, 국민과 소통하고 제대로 일하겠다는 약속을 실천할 때 청와대 개방이 갖는 의미는 온전해질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장윤희입니다. (ego@yna.co.kr)<br /><br />#청와대 #집무실이전 #역사속으로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