어두워진 경제 전망…코로나 꺾이자 대외 악재 '발목'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장기화에 중국의 봉쇄 조치 등 대외 여건이 나날이 악화하면서 경기 전망이 어두워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국책연구기관 KDI는 경기 둔화 압력이 더 커졌다고 진단했고, 경제 성장률 전망을 낮추는 연구기관도 잇따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새 정부의 어깨가 무겁습니다.<br /><br />차승은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 KDI는 이 달 경제 동향 보고서에서 "경기 하방 위험이 더욱 확대됐다"고 평가했습니다.<br /><br />"경기 불확실성이 크게 확대됐다"던 3월이나 "경기 하방위험이 확대됐다"고 진단했던 4월보다 표현 수위가 더 높아진 겁니다.<br /><br />고용 지표나 서비스업 생산을 중심으로 경기가 완만하게 회복되고 있지만, 대외 여건이 악화일로란 게 핵심 이유입니다.<br /><br /> "우크라이나 사태가 장기화되는 것은 지금 계속되고 있는 상황이고요. 이번 달에는 미국 금리 인상이라든지 중국 경제 성장세 둔화 가능성이 발생하면서…"<br /><br />투자와 수출 지표도 어두워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공급망 교란으로 설비투자는 반년 만에 증가율이 마이너스로 떨어졌고, 건설 시공 실적 지표인 건설기성액 감소율은 더 커졌습니다.<br /><br />수출 증가세도 둔화해 지난달 무역수지는 26억 6,000만 달러 적자로, 1억 2,000만 달러였던 3월보다 적자 폭이 크게 확대됐습니다.<br /><br />경제에 대한 암울한 전망은 곳곳에서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KDI와 비슷한 이유로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을 2.5%로 0.4%포인트 낮췄고,<br /><br />메리츠증권도 연초 3.0%에서 3월 말 2.8%로 하향한 데 이어 두 달도 채 되지 않아 2.6%로 또 내렸습니다.<br /><br />코로나19 사태가 지나가면 경제가 되살아날 거란 기대와는 달리, 대외 악재들이 우리 경제의 발목을 잡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차승은입니다. (chaletuno@yna.co.kr)<br /><br />#경제성장률 #KDI #경제전망 #한국경제연구원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