러-우 전쟁 여파 계속…식량 가격이 물가 흔든다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세계 식량 공급망을 뒤흔들면서 곡물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우리나라도 비상등이 켜졌습니다.<br /><br />치솟는 먹거리 물가를 잡고 안정적 공급선을 확보하기 위한 정책이 시급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한지이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1970년대 80.5%였던 한국의 곡물 자급률은 50년 만에 20.2%로 4분의 1토막 났습니다.<br /><br />식량 자급률은 45.8%로 경제협력개발기구 OECD 중 최하위 수준이고, 수요가 많은 밀과 콩, 옥수수 등 전략 작물 자급률은 한 자릿수대에 불과합니다.<br /><br />문제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전쟁 장기화로 세계적으로 곡물 사재기가 벌어지고 국제 곡물가는 치솟은 데 더해 시간이 갈수록 주요 식량 생산국들의 식량 쇄국주의 정책까지 심화하고 있다는 겁니다.<br /><br />국제 밀 가격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시작 후 20% 이상 급등해 이달 들어 t당 400달러 선까지 올라오면서 외식, 가공식품 물가까지 부채질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전문가들은 주요 생산국들의 '식량 무기화' 문제가 언제든 대두될 수 있는 상황이라면서 세계 곡물 가격 변동에 취약한 한국으로선 중장기 대비책이 필수라고 지적합니다.<br /><br /> "식량 안보 차원에서의 곡물 자급자족이라는 부분들, 사실 이런 사태가 터지면 곡물, 식량의 중요성이 커집니다. 어느 정도의 비중 있게 국내에서 자급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드는 데 좀 더 신경을 써야하지 않을까라고 봅니다."<br /><br />한편, 국내 식품업체들은 상반기까지는 비축한 재료로 버티지만, 곡물 가격, 금리 상승 등의 영향이 더해지면 하반기 가격 추가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어서 먹거리 물가 부담은 갈수록 커질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한지이입니다. (hanji@yna.co.kr)<br /><br />#한국_곡물자급률_위기 #식량_안보_위기 #외식물가_상승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