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윤석열 대통령은 오늘 용산 집무실에서 축하사절단을 만나며 외교 행보를 시작했습니다. <br> <br>미국 다음으로 중국이 아닌 일본 사절단을 먼저 만났습니다.<br> <br>이게 어떤 의미인지 한수아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윤석열 대통령은 첫 번째 외교일정으로 미국 축하사절단을 접견한 자리에서 한미동맹을 강조했습니다. <br> <br>[미국 경축사절 접견] <br>"미국의 여러 동맹 중에서도 한미동맹은 가장 성공적인 모범 사례라고 저는 생각합니다." <br> <br>[더글라스 엠호프 / 미국 부통령 남편] <br>"취임 축하 말씀 뿐만 아니라 앞으로 5년 동안 대통령님과 긴밀하게 협력하고 싶다는 뜻을 담은 (바이든 미국 대통령의) 친서입니다." <br> <br>미국 사절단은 '세컨드 젠틀맨'으로 불리는 엠호프 해리스 부통령 남편이 단장을 맡았고, 소설 '파친코'의 작가 이민진 씨도 포함됐습니다. <br> <br>윤 대통령은 이어 하야시 요시마사 일본 외무상을 만나 기시다 후미오 총리의 친서를 전달 받았습니다. <br> <br>[하야시 요시마사 / 일본 외무상] <br>"윤석열 대통령님 취임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. 우선 기시다 총리가 맡기신 친서를 드립니다." <br> <br>[일본 경축사절 접견] <br>"저는 기시다 총리와 양국 관계 개선을 위해 함께 노력해 나가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." <br> <br>윤 대통령은 아랍에미리트 사절단을 만난 뒤 네 번째 외교 일정으로 중국의 실질적 '2인자'인 왕치산 국가부주석을 접견했습니다. <br> <br>중국에서 한국 대통령 취임식에 파견한 인물 중 최고위급 인사입니다. <br> <br>윤 대통령은 당선 직후 미국에 이어 일본 정상과 먼저 통화하고 나중에 중국 정상과 통화했는데 이번 축하사절단 접견도 미국 일본 중국 순으로 진행됐습니다. <br> <br>한미일 3각 공조에 무게를 두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옵니다. <br> <br>윤 대통령은 싱가포르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는 것으로 첫날 외교일정을 마무리했는데 내일은 중앙아프리카공화국 대통령과 캐나다 상원의장 등을 면담합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한수아입니다. <br><br>영상편집: 구혜정<br /><br /><br />한수아 기자 sooah72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