오늘은 동학농민혁명이 일어난 지 128년이 되는 날입니다. <br /> <br />전남 장흥은 동학농민혁명 4대 전적지 가운데 한 곳인데요. <br /> <br />최후의 항전이 벌어졌던 전남 장흥에서 희생된 농민군들의 뜻을 기리기 위한 동학농민혁명 기념식이 열렸습니다. <br /> <br />오선열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농민군들이 하나둘 모여서 깃발과 칼을 들고 항전을 준비합니다. <br /> <br />동학농민혁명의 유일한 여장부인 '이소사' 장군이 말을 타고 등장해 진격을 알립니다. <br /> <br />전남 장흥은 동학농민혁명 4대 전적지 가운데 하나로, '석대들 전투'가 열린 곳입니다. <br /> <br />전투 당시 동학 농민군과 관군 토벌대가 최후의 전투를 벌여 2천여 명이 숨졌습니다. <br /> <br />[이정신 / 장흥 동학농민혁명 유족회장 : 석대들 전투는 전국 4대 전적지 중 가장 피해가 컸던 전투고, 희생자가 전국에 어딜 가나 석대들 전투의 희생자만큼이나 나온 데가 없습니다.] <br /> <br />1894년, 동학 농민군은 사람이 곧 하늘이라는 인내천 사상을 따라 자유와 평등을 외치며 부패 정치와 맞서 싸웠습니다. <br /> <br />당시 동학 농민군은 충남 공주 우금치 전투에서 관군에 패해 전봉준 등 지도부가 붙잡혔지만 전남 일대에서 항전을 이어갔습니다. <br /> <br />제128주년 동학농민혁명 국가기념일 맞아 농민군의 최후 항쟁지 전남 장흥에서 첫 공식기념식이 열렸습니다. <br /> <br />장흥군은 동학 묘역에 농민군 희생자 1,700여 명을 안장하고, 지난 2015년 동학농민혁명 기념공원을 조성했습니다. <br /> <br />[위의환 / 장흥 동학농민혁명 기념사업 이사장 : 과거 128년 전의 박제된 하나의 역사적 사건이 아니라, 앞으로도 광주 518처럼 늘 가슴에 새기면서 우리가 민족의 정신으로 품고 발전시켜나갈 혁명의 정신입니다.] <br /> <br />민중 혁명의 시작이자 민주화 운동의 뿌리로 여겨지는 동학농민혁명. <br /> <br />해묵은 갈등과 반목 대신 화합과 상생의 상징인 동학 정신을 다시 한 번 계승할 때입니다. <br /> <br />YTN 오선열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오선열 (ohsy55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20511213041084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