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고물가 행진에 美 증시 '털썩'...국내도 '전전긍긍' / YTN

2022-05-12 69 Dailymotion

■ 진행 : 박석원 앵커 <br />■ 출연 : 조태현 / 경제부 기자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국내외 경제 소식 짚어봤는데요. 보다 구체적으로 하나하나 살펴보겠습니다. 경제부 조태현 기자 나와있습니다. 어서 오십시오. <br /> <br />앞서 미국 소비자물가 상승률, 둔화하기는 했지만, 주춤하기는 했지만. 이런 표현을 쓰기는 했습니다. 하지만 두 달 연속 8% 오르다 보니까 이걸 둔화라고 해야 될지도 참 모르겠거든요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이게 두 가지 측면이 있습니다. 지금 방금 강희경 기자가 전해 드린 것처럼 지난달에 미국 소비자물가가 8.3% 올랐는데 이 전달에 40년 만의 최고인 8.5%가 올랐거든요. 이것보다는 오름폭이 약간 둔화를 했습니다. 그래서 두 가지 측면이 있는데 하나는 정점을 지난 것이냐, 또 하나는 여전히 너무 높은 물가냐, 이 두 가지가 있는데요. 지금 미국 증시에서 반응하는 것을 보면 정점을 지났다는 것보다는 여전히 굉장히 높은 물가가 유지되고 있다. 이쪽에 더 조금 반응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겠습니다. 그렇기 때문에 지금 상당히 주가가 떨어졌다고 볼 수 있고요. 경제 상황에서 물가는 너무 올라라도 문제지만 너무 오르지 않는 상황도 문제가 됩니다. 모든 경제는 다 물가가 차츰자츰 오르는 데 맞춰져 있기 때문에요. <br /> <br />그런데 지금 상황은 물가가 너무 빠르게 올라서 문제가 되는 상황이라고 볼 수 있겠고요. 물가에는 에너지와 식료품 같은 것들도 당연히 포함이 되는데 이런 것들은 가격의 변동 폭이 큽니다. 그래서 근원적인 흐름을 보기 위해서 이런 것들을 제외한 근원 인플레이션율을 보거든요. 이것도 지금 6.2%나 올랐습니다. 그러니까 지금 외부의 요인으로 공급 같은 것도 문제가 있지만 내부적으로 수요가 늘어나면서 앞서 전해 드린 것처럼 서비스물가 같은 게 오르는, 그러니까 공급과 수요 모두에서 물가를 올리는 압력이 있다, 이렇게 볼 수 있는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지금 물가 관련한 보도들 보다 보면 물가상승률이 매도 압박을 강하게 하고 있다, 이런 이야기도 나오고 있고요. 물가가 크게 오르면서 증시에 영향을 미치는 배경은 어떤 게 있을까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일단은 물가가 계속 오르게 되면 우리 같은 생활경제인들이 상당히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잖아요. 그래서 정책 입장에서는 이 물가... (중략)<br /><br />YTN 조태현 (choth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20512135657050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