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 <br>윤석열 정부는 중앙 정부의 추경 규모를 36조 원으로 의결했죠. <br> <br>민주당은 그걸론 부족하다며 47조 원으로 늘리자고 제안했습니다. <br> <br>선거용 민심 잡기 경쟁이라는 해석인데요.<br> <br>하지만 돈이 대규모로 풀리는 거라 물가 인상에 기름을 부을 거라는 우려도 나옵니다. <br> <br>최수연 기자 보도 보시고 아는기자와 대통령의 용산 집무실 생활 살펴보겠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더불어민주당은 긴급 기자간담회를 열어 약 47조 원의 추경안 편성을 제안했습니다. <br> <br>윤석열 정부의 추경안보다 11조 원 이상 늘어난 규모입니다. <br><br>앞서 정부는 매출 30억원 이하 중소기업에 지원금을 지급하기로 했는데 민주당은 연매출 100억원 이하 중소기업으로 대상을 확대했습니다. <br> <br>정부안에서 빠진 프리랜서 화물연대 기사, 법인택시 기사 등에 대해서도 1인당 300만 원을 지원하겠다고 했습니다. <br> <br>코로나19 방역 조치가 시작된 지난 2020년 8월부터 2021년 7월까지의 피해 손실보상에 대한 소급적용도 제안했습니다.<br> <br>민주당이 지방선거를 앞두고 민심을 잡기 위해 정부안보다 지원 대상과 지원금을 늘렸다는 분석입니다. <br> <br>민주당은 초과세수를 추경 재원으로 활용하겠다면서도 과도한 초과세수 발생에 대해선 면밀히 따져보겠다며 정부여당에 견제구를 날렸습니다. <br> <br>[김성환 /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] <br>" (정부가) 권력교체기에서 여가 되든 야가 되든 새로운 대통령 당선자가 쓸 수 있는 비용을 어디엔가 감춰놨다가 꺼냈거나, 이랫을 소지가 있어 보입니다. " <br> <br>국민의힘은 추가 세수 예측을 한 건 문재인 정부라고 일축했습니다. <br> <br>[성일종 / 국민의힘 정책위의장(KBS 라디오 '최경영의 최강시사')] <br>" 정권을 인수받은 지가 뭐 5월 10일 이틀 전인데, 이거를 저희가 추계한 게 아니지요."<br> <br>그러면서 이번 추경은 이전 정권과 다르게 미래 세대에 빚을 지우지 않는 방식으로 추진했다고 반박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최수연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김기태 <br>영상편집 강민<br /><br /><br />최수연 기자 newsy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