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북한이 오늘 국가 최중대 비상사건이 발생했다고 발표했는데요. <br> <br>오미크론에 뚫렸다는 소식이었습니다. <br> <br>김정은 위원장이 한밤 중에 긴급 회의를 소집할만큼 긴박한 분위기입니다. <br> <br>그런데 조금 전인 오후 6시 29분쯤 북한이 단거리 탄도 미사일 3발을 발사했습니다. <br> <br>코로나로 흔들리는 내부 결속용인지 윤석열 정부 출범 이틀 만에 발사라 대남 메시지가 담긴 건지 군 당국이 분석에 나섰습니다. <br> <br>박수유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한밤 중 소집된 북한 노동당 정치국회의.<br><br> 전원 마스크를 착용한 당 간부들에 이어 역시 마스크 차림의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등장합니다. <br> <br>[조선중앙TV] <br>"굳건히 지켜온 우리의 비상방역전선에 파공이 생기는 국가 최중대 비상사건이 발생하였다." <br> <br>평양에서 스텔스 오미크론 감염자가 발생하자 긴급 회의를 소집한 겁니다. <br> <br>김 위원장은 회의에서 전국 시·군을 봉쇄를 지시했습니다. <br> <br>[조선중앙TV] <br>"전국의 모든 시, 군들에서 자기 지역을 철저히 봉쇄하고, (바이러스를) 완벽하게 차단할 데 대하여 말씀하시었다" <br> <br>새벽 긴급 회의 소집과 회의 내용을 당일 공개한 건 매우 이례적입니다. <br> <br>특히 김 위원장의 마스크 차림을 처음 노출하고 새벽 1시50분부터 두 시간 가까이 긴급 회의를 진행했을 만큼 심각한 상황임을 드러내보인 겁니다. <br> <br>북한은 지난 달 말 열린 대규모 열병식에서 수만 명이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은채 참여하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당시 오미크론 바이러스가 이미 내부 깊숙이 퍼졌을 가능성도 제기됩니다. <br><br>북한은 지난해부터 아스트라제네카 200만회분, 중국 시노백 300만회분 등의 백신 지원을 거부해왔습니다. <br><br>대규모 집단 감염 위기 속에 북한이 스텔스 오미크론 전파 사실을 전격 공개하고 백신 원조를 이끌어 내려는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옵니다. <br> <br>[조한범 /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] <br>"제로코로나 정책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이 너무 컸고요. (이제는) 백신이나 치료제 등 대북지원을 받을 수 있는 명분이 생기거든요." <br><br>일각에선 핵 실험 준비 움직임의 둔화 가능성이 제기됐지만 북한은 오후 6시 29분쯤 탄도 미사일 발사를 다시 감행했습니다. <br> <br>올 들어 모두 16차례 발사 중 가장 늦은 시각에 이뤄진 이번 시험 발사를 두고 미사일 고도화와 함께 내부 결속용이라는 해석도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박수유입니다.<br> <br>영상편집 : 강민<br /><br /><br />박수유 기자 aporia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