수입물가 상승에 환율도 들썩…고물가 부채질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곡물이나 원유, 금속 같은 수입 원자잿값이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원자재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는 우리나라로서는 소비자물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는데요.<br /><br />여기에 환율까지 치솟아 가뜩이나 뛴 물가를 더 부채질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재동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한국은행이 발표한 지난달 수입 물가는 한 달 전보다 0.9% 하락했습니다.<br /><br />국제유가가 소폭 떨어진 덕에, 4개월 만에 내린 것이지만 1년 전보다는 여전히 35%나 높습니다.<br /><br />품목별로는 밥상 물가와 관련 있는 냉동수산물이 한 달 전보다 9.2%나 올랐고 농·축·임산물도 모두 상승했습니다.<br /><br />원자재 수입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는 수입 물가가 높으면 생산자 물가와 소비자물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습니다.<br /><br />문제는 고공행진 중인 수입 물가 상승세가 한동안은 쉽게 꺾이기 어렵단 점입니다.<br /><br />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로 국제 원유 가격은 불안하고, 코로나19로 중국의 주요 도시가 봉쇄되며 글로벌 공급망도 흔들리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우크라이나 사태 및 공급망 차질 장기화 등으로 투자 부진 및 수출회복세 제약이 우려되고 물가 상승세가 지속 확대되고 있는 상황입니다."<br /><br />달러당 1,300원을 위협하고 있는 환율도 문제입니다.<br /><br />안 그래도 원자잿값이 많이 올랐는데, 환율이 뛰는 바람에 원화로 환산해보면 국제가격 인상 폭보다 더 많이 올랐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 "결론적으로 인플레이션 압력이 더 올라갈 가능성이 있거든요. 지금 현재 가장 우리나라 경제에서 중요한 물가압력이 올라간다는 측면에서 특단의 조치가 필요한 상황이 아닌가 생각됩니다."<br /><br />정부는 비상대책회의를 열어 위기의식을 갖고 거시경제 관리와 대응에 나서겠다고 했지만 뛰는 원자잿값과 환율 앞에 뾰족한 해법은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재동입니다.<br /><br />#한국은행 #수입물가 #환율 #고물가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