오는 6월 1일 치러지는 지방선거에서 단독 출마 등으로 투표 없이 당선된 후보가 4년 전보다 5배 넘게 폭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전국 313개 지역구에서 무려 494명이 무투표로 당선됐는데, 극심한 양당 대결 구도가 상당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이경국 기자가 정리했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 12일부터 이틀간 진행된 지방선거 후보자 등록에 신청한 사람은 모두 7천6백여 명. <br /> <br />여기서 출마와 함께 당선이 확정된 후보가 유례없이 쏟아졌습니다. <br /> <br />전국 313개 선거구에서 무려 494명이 투표를 거치지 않고 자동으로 당선이 확정됐습니다. <br /> <br />지역구 기초의원 282명, 지역구 광역의원 106명, 비례 기초의원 99명 등입니다. <br /> <br />후보자가 단독 출마했거나 2명을 뽑는 선거구에 2명만 나오는 등 투표 자체가 필요 없는 겁니다. <br /> <br />지난 2018년 지방선거와 비교해 선거구 수로는 4배 이상, 무투표 당선자 수로는 5배 이상 폭증한 수치입니다. <br /> <br />거대 양당 중심의 진영 대결 양상이 대선부터 확고해져 불리한 지역에 출마 자체가 줄었기 때문이란 분석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무투표 당선 사례가 주로 영남과 호남 지역에 집중된 점도 이를 뒷받침합니다. <br /> <br />[강호성 /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언론팀장 : 무투표 선거구가 크게 늘면서 기초단체장 선거에서도 무투표 당선 사례가 나왔습니다. 해당 선거구는 투표를 실시하지 않고 선거일에 후보자를 당선인으로 결정합니다.] <br /> <br />이 같은 영향으로 평균 경쟁률도 1.8대 1로 떨어져, <br /> <br />2014년 지방선거 당시 2.3대 1을 밑도는 역대 최저 경쟁률을 경신했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, 여성 후보자 비중은 4년 전보다 2.4%포인트 상승한 27.6%로, 소폭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또, 전체 후보자 가운데 36.3%는 1개 이상 전과가 있었고, 전과 14건을 가진 후보도 2명이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후보들 평균 재산은 8억5천만 원으로, 국민의힘 조성명 서울 강남구청장 후보가 519억 원으로 가장 많았습니다. <br /> <br />광역단체장 중에선 국민의힘 김은혜 경기지사 후보가 225억 원을 신고했고, <br /> <br />무소속 강용석 경기지사 후보, 국민의힘 오세훈 서울시장 후보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지방선거와 함께 치러지는 국회의원 보궐선거 후보자 15명 가운데선, <br /> <br />경기 성남 분당갑의 민주당 김병관 후보가 3,694억 원, <br /> <br />국민의힘 안철수 후보가 1,979억 원을 신고해 천문학적 재산을 자랑했습니다. <br /> <br />5백억 이상 자산가... (중략)<br /><br />YTN 이경국 (leekk0428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20514215104353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