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꿀벌 실종 사건...'유전자 개량 벌'로 이겨낸다 / YTN

2022-05-14 2 Dailymotion

올해 국내 꿀벌이 갑작스럽게 줄어들면서 양봉업계는 물론이고 생태계 전체가 위기 국면에 놓였습니다. <br /> <br />국내 연구진은 이를 극복하기 위해 질병이나 기후변화에 강한 벌 등 유전자 개량 벌을 잇따라 개발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최소라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올해 집계된 국내 꿀벌 수는 216만 통입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꿀벌 수가 270만 통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일 년 만에 5마리 가운데 1마리꼴로 사라진 겁니다 <br /> <br />꿀벌이 사라지면 꿀 생산량이 줄어드는 것도 문제지만, 꽃가루를 퍼트릴 곤충이 감소해 농작물도 큰 타격을 받습니다. <br /> <br />벼와 채소 등 농작물의 30%, 딸기나 멜론처럼 온실 등 시설에서 생산되는 작물의 70%가 꿀벌의 수분 매개에 의존하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올해 꿀벌 실종 현상의 주요 원인으로 기후변화로 인한 병충해 확산을 꼽았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2년간 따뜻한 겨울이 계속되면서 꽃이 빨리 피고 개화 기간이 짧아져 꿀벌은 꿀을 채취할 시간이 부족했습니다. <br /> <br />영양분을 섭취하지 못한 벌들의 면역력이 떨어져 각종 병충해에 취약해졌다는 분석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[이경용 / 국립농업과학원 연구원 : 기후변화로 인해 꿀벌에 대한 여러 해충, 꿀벌응애와 같은 해충이 발생했고, 해충을 잡기 위해 살충제를 과다사용한 부분도 (꿀벌 감소에 영향을 줬습니다.)] <br /> <br />국내 과학자들은 꿀벌 유전자를 개량해 치명적인 질병을 견뎌낼 벌을 개발했습니다. <br /> <br />먼저 꿀벌 유충에 기생해 영양분을 뺏고 바이러스를 감염시키는 치명적인 진드기, 꿀벌응애에 강한 '장원벌'입니다. <br /> <br />겉모습은 일반 벌과 비슷하지만 바이러스 저항 단백질을 많이 생성해내도록 유전자를 개량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 결과 바이러스에 감염돼도 질병이 생기지 않았고, 꿀 수집능력도 1.3배 향상됐습니다. <br /> <br />토종벌 개체 수를 늘릴 기술도 개발됐습니다. <br /> <br />토종벌은 선천적으로 꿀벌응애에 감염되지 않지만 10여 년 전 낭충봉아부패병 유행으로 멸종 위기에 처한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연구팀은 낭충봉아부패병에 대한 완전한 저항성을 가진 '한라벌'을 개발했습니다. <br /> <br />[최용수 / 국립농업과학원 꿀벌육종환경연구실장 : (토종벌이) 생존해 있던 지역의 벌을 수집하고, 수집 벌들의 (질병) 저항성을 테스트하고 수십 세대를 거쳐 저항성이 완벽한 품종으로 선발된 품종입니다.] <br /> <br />연구팀은 앞으로는 온도 변화에도 잘 견딜 수 있는 기후 변화 대응 벌... (중략)<br /><br />YTN 최소라 (csr73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5_20220515021728793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