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 거래가 활발하지 않고 상승폭이 ‘불장’때보다 덜할 뿐 부동산은 지금도 여전히 비쌉니다.<br> <br> 수도권, 광역시 뿐 아니라 세종 조치원읍. 강원 태백시 같은 지방도 아파트 평당 가격이 천만 원을 훌쩍 넘어섰습니다.<br> <br> 박지혜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세종시 조치원읍의 한 아파트입니다. <br><br>조치원역을 통과하는 충청권 광역철도 사업이 지난해 국가철도계획에 포함되면서 가격이 2년새 3배 가까이 뛰었습니다.<br> <br>[조치원읍 공인중개사] <br>"전국에 바람 불 때 바람이 불은 거고, 벌써 지나간 거예요. 서울 사람들은 (매도) 다 하고 갔어요. 그 사람들은 산 지가 2년이 되어서 먹고 다 나가요." <br><br>수도권과 광역시를 제외한 전국의 지방 아파트는 각종 규제에서 비교적 자유로운데요, <br> <br>외지인들의 원정 쇼핑으로 충북과 강원, 충남 같은 지방도 평당 가격 1천만 원을 훌쩍 넘기더니 연일 신기록을 쓰고 있습니다.<br><br>서울과 비교하면 가격 상승률이 2배 수준인데, 강원 동서화 고속철도 사업 등 굵직한 교통망 호재에다 수도권 규제에 따른 '풍선효과'까지 더해졌다는 분석입니다.<br> <br>[권대중 / 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] <br>"심리적 요인이 작용한 게 있어요. 다른 지역이 올라가니까 급한 사람들이 매수하면서 가격이 오른거죠. (앞으로) 가장 큰 요인은 금리인상입니다." <br> <br>문제는 실수요가 아닌 만큼 부동산 거품이 꺼지기 시작하면 지방부터 대책 없이 집값이 주저앉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박지혜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: 권재우 <br>영상편집 : 유하영<br /><br /><br />박지혜 기자 sophia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