코로나19 신규 환자가 이틀째 2만 명대를 기록하며 완만한 감소세를 유지했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이번 주 일상회복 '안착기' 전환 여부를 집중적으로 논의하는데,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격리 의무 해제를 두고 의견이 분분합니다. <br /> <br />최명신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신규 환자는 전날보다 4천 백여 명 줄어 이틀 연속 2만 명대를 유지했습니다. <br /> <br />유행 규모가 8주간 감소세를 이어가는 가운데 전주 대비 평균 30∼40%씩 줄었던 4월과는 달리 지난주에는 11%가량 감소하는 데 그치는 등 감소 폭은 다소 둔화됐습니다. <br /> <br />방역 당국은 유행 규모가 정체 구간에 진입해 확진자 수가 등락을 거듭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위중증 환자는 3백38명으로 엿새째 300명대를 유지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가운데 정부는 확진자 격리의무 해제 조치를 포함한 포스트 오미크론 '안착기' 전환 여부를 이번 주 집중적으로 논의합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앞서 지난달 25일 코로나19 감염병 등급을 최고 단계인 1급에서 2급으로 낮추면서 4주간의 '이행기'를 설정했는데, 오는 22일 종료를 앞두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안착기 전환과 관련해선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엇갈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안착기의 핵심인 확진자의 7일 의무 격리 해제 여부가 관건입니다. <br /> <br />[백순영/ 가톨릭대 의대 명예교수 : 확진자의 증감은 있을지 몰라도 유행 자체는 크게 걱정할 상황은 아니라고 보여서 격리 의무를 해제하는 것도 충분히 가능한 상황이라고 보겠습니다.] <br /> <br />[천은미 /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 : 확진된 분들이 학교나 직장에서 불이익을 받지 않을 수 있는 시스템이 마련이 돼야 합니다. 특히 아직까진 의료환경이나 치료제가 풍토화될 수 있는 환경이 아니기 때문에 격리의무 해제에 대해서는 이른 감이 있다고 생각합니다.] <br /> <br />정부는 확진자 수 추이와 의료 대응 여력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안착기 전환 여부를 결정할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신임 국무총리 인준이 난항을 겪고 있고 보건복지부 장관의 임명 여부도 결정되지 않는 등 새 정부의 '방역 컨트롤타워'가 아직 제 모습을 갖추지 못한 점이 변수가 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YTN 최명신입니다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최명신 (mschoe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20515222644081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