증오범죄 씨뿌린 프랑스발 음모론…버팔로 참사에도 영향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유색인종을 대상으로 한 증오범죄가 발생할 때마다 거론됐던 프랑스 작가의 '음모론'이 미국 뉴욕의 슈퍼마켓 총기사건에도 배후로 지목됐습니다.<br /><br />권력집단이 백인을 몰아내기 위해 유색인종 이민자를 받아들인다는 내용입니다.<br /><br />한미희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뉴욕주 버펄로 슈퍼마켓 총기 난사 피의자로 1급 살인 혐의로 기소된 18살 페이튼 젠드런.<br /><br />10명이 사망한 이번 사건에 미국 사회가 또한번 '인종범죄' 충격에 휩싸인 가운데 젠드런이 범행 직후 온라인에 범행과 관련해 180페이지 분량의 성명을 올린 사실이 확인됐습니다.<br /><br />자신을 파시즘을 신봉하는 백인 우월주의자로 규정한 그는 미국 권력층이 백인 인구를 줄이기 위해 유색 인종 이민자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는 음모론에 빠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뉴욕타임스는 젠드런의 성명에서 프랑스 소설가 르노 카뮈가 주장한 '대전환론'의 영향이 뚜렷하게 확인된다고 지적했습니다.<br /><br />'대전환론'은 극소수의 권력 집단이 자녀를 많이 낳는 아프리카와 중동의 이민자들을 유럽에 유입시켜 백인들을 몰아낼 것이라는 일종의 음모론입니다.<br /><br />이민자가 토착 백인의 수를 뛰어넘을 수 있다는 주장은 100년 전에도 존재했지만, 2012년 카뮈가 '대전환론'이라는 이름을 붙인 뒤 백인 우월론자 사이에서 더 큰 영향력을 발휘하기 시작했습니다.<br /><br />2019년 뉴질랜드 크라이스처치에서 발생한 이슬람 사원 총기 난사 사건이 대표적입니다.<br /><br />당시 범인 브렌턴 태런트는 범행 전 인터넷에 올린 글에서 "상대적으로 출산율이 높은 이민자들이 백인을 대체할 것"이라는 카뮈의 주장을 되풀이했습니다.<br /><br />이번 버팔로 사건의 피의자 젠드런 역시 성명에서 미국의 백인 문화가 절멸 위기에 빠졌다는 불안감을 드러냈습니다.<br /><br />그는 미국의 인종적 다양성에 대해 불만을 표시했고, 유색인종은 미국을 떠나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.<br /><br />전문가들은 대전환론이 백인 문화의 소멸 가능성을 부각해 극단적인 폭력을 부채질 할 수 있음을 지적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 한미희입니다.<br /><br />#버펄로_백인우월주의자 #증오범죄 #대전환론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