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980년 5·18 민주화운동 기념일을 하루 앞두고 광주는 추모 분위기가 고조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내일 정부 공식 기념식에 앞서 오늘은 전야제를 비롯한 각종 추모 행사가 열릴 예정인데요. <br /> <br />현장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해보겠습니다. 나현호 기자!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국립 5·18 민주묘지에 나와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바로 내일이면, 5·18 민주화운동 42주년인데요. <br /> <br />추모하는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고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제가 있는 곳은 민주주의를 수호하다가 희생된 분들이 잠든 곳입니다. <br /> <br />5·18 42주년을 하루 앞두고 유족과 추모객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1·2 묘역을 합쳐서 9백 기가 넘는 묘가 있는데요. <br /> <br />유족들과 추모객들이 묘에 꽃을 놓고 희생자를 기리는 모습도 눈에 띄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초중고등학교를 비롯한 단체 참배도 잇따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묘역뿐만 아니라 추모관 등을 둘러보며 민주, 인권, 평화의 5·18 정신을 되새기는 모습입니다. <br /> <br />오전에는 국립 5·18 민주묘지에서 추모제가 열렸습니다. <br /> <br />5·18 민주유공자유족회를 중심으로 진행됐는데요. <br /> <br />계엄군의 폭압에 스러져간 5월 영령의 넋을 위로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5·18이 되면 광주에서는 매년 전야제가 열리지 않습니까? <br /> <br />광주 시민이 주축이 된 다양한 추모 행사도 열리고 있다고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 그렇습니다. <br /> <br />무엇보다 옛 전남도청과 금남로 이야기를 빼놓을 수 없을 텐데요. <br /> <br />옛 전남도청은 5·18 당시 시민군이 계엄군의 폭압에 맞서서 최후 항쟁을 벌였던 장소입니다. <br /> <br />옛 전남도청 바로 앞에 있는 금남로에서는 시위에 나섰던 많은 시민이 계엄군의 무차별 발포에 목숨을 잃었던 곳인데요. <br /> <br />현재 옛 전남도청 앞 도로 4백여 m를 막고 다양한 행사를 벌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민주화에 투신했다가 유명을 달리한 분들을 기리는 추모 행사가 한창입니다. <br /> <br />지금은 '오월 시민 난장'이라는 행사가 열리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5·18과 관련된 거리 무대는 물론이고 다양한 교육과 체험활동이 이뤄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평일 오후인데도, 행사에 참여하려는 시민들의 발걸음이 점차 늘고 있는 모습입니다. <br /> <br />광주는 매년 이렇게 5·18을 전후로 해서 희생자를 추모하고 뜻을 기리는 행사를 열어왔는데요. <br /> <br />지난 2020년 이후에는 코로나19 확산 탓에 행사가 취소되거나 대폭 축소돼 치러졌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니까 올해 42주년 5·18 행사가 3년 ... (중략)<br /><br />YTN 나현호 (nhh7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20517160027105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