수출에도 도움 안되는 원화 약세…해법이 안보인다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최근 원·달러 환율 급등에 외환시장이 불안합니다.<br /><br />미국의 급격한 금리 인상 전망에 외국인 자금이 빠지며 원화 가치가 떨어지는 탓인데요.<br /><br />하지만 불안을 해소할 뾰족한 해법이 없다는 게 당국의 고민입니다.<br /><br />이재동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최근 서울 외환시장에는 달러를 팔겠다는 주문보다 사겠다는 주문이 더 많습니다.<br /><br /> "4.3에 6개! 바이!" (달러당 1,274.3원에 600만 달러 매수 체결해주세요)<br /><br />지난해부터 꾸준히 오르기 시작한 원·달러 환율은 2009년 금융위기 수준인 1,300원을 위협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글로벌 공급망 차질로 가뜩이나 어려운 원자재 수입업체들은 비상이 걸렸습니다.<br /><br /> "수출 안 하는 회사들 있잖아요. 수입만 하는 회사. 소재, 부품, 장비 회사. 그런 회사들은 어렵죠. 소재, 부품, 장비는 다 내수잖아요."<br /><br />환율이 이렇게 뛰는 이유는 세계적인 경제 전망 불안에 달러 매수가 늘었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사정이 이렇다보니 일본 엔화나 중국 위안화 가치도 함께 떨어져 원화 약세가 수출에 도움이 된다는 공식도 통하지 않습니다.<br /><br />시장에선 오는 21일 한미정상회담을 고리로 지난해 종료된 한미 통화스와프를 되살려야한다는 얘기도 나옵니다.<br /><br /> (통화스와프 관련 내용도 논의를 하시나요?) "구체적인 얘기에 관해서는 말씀드리기 곤란하니까…"<br /><br />통화스와프는 체결 자체만으로 외환위기 가능성을 원천 배제하는 효과를 냅니다.<br /><br /> "충분한 외환 보유액 비축이 되어 있다고 얘기들이 나오고는 있습니다만 대외 신인도를 높이는데는 미국과의 통화스와프를 체결하는 것이…"<br /><br />하지만 환율 불안이 세계적 달러 수요 증가 탓이라 통화스와프가 효과를 보기 어렵다는 이견과 함께 미국의 수용 가능성이 낮다는 현실적 제약도 만만치 않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재동입니다.<br /><br />#추경호 #수출 #통화스와프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