EU 등 탄소중립 압박…국내 배출권 거래시장 '속도'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유럽연합 등 주요국에선 온실가스 감축 기조를 이용해 무역장벽을 강화하려는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결국 국내 기업도 감축 규모 현실화가 필요한 상황에서 정부가 탄소배출권 거래 활성화를 위한 선물시장 개설을 준비 중 입니다.<br /><br />김지수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한 제도가 국경을 넘은 기업 간 거래에도 직접 영향을 주는 시대가 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대표적으로 유럽의 탄소국경조정제도, CBAM은 유럽연합으로 수입되는 제품의 탄소 배출량이 EU 제품보다 많을 때 배출량 차이만큼 세금을 부과합니다.<br /><br />2025년 본격 도입이 예상되는 CBAM 대상 품목에는 철강, 플라스틱 등 우리의 주력 수출 품목도 담겼습니다.<br /><br />미국 증권거래위원회도 모든 상장기업이 기후변화 관련 정보를 상세히 공시하도록 하는 규칙을 마련 중입니다.<br /><br />온실가스 배출이 많은 기업들은 감축을 위한 재무 부담이 계속 늘어날 수 밖에 없는 실정입니다.<br /><br />포스코, 현대제철 등이 직·간접으로 배출한 온실가스는 연간 1억톤에 달하고, 삼성전자도 1,200만톤을 넘습니다.<br /><br />이에 환경부는 국내 탄소배출권 거래 활성화를 위한 선물시장 개설을 준비 중입니다.<br /><br />유동성 부족을 극복해 안정적 가격 형성이 가능할 것이란 기대로 이르면 내년 시장이 열릴 수도 있습니다.<br /><br />국내 탄소배출권은 2015년 거래 시작 이후 현물만 거래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이행수단이 산업계 쪽은 배출권 거래제거든요. 별도의 탄소세가 생긴다거나 이런게 아니면, 이행 수단이 배출권 거래제기 때문에 그걸 어떻게 세팅하느냐가 가장 큰 관심사죠."<br /><br />정부가 인센티브 구조를 통해 환경 산업을 미래 먹거리로 키워나가는 것도 중요한 시점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지수입니다.<br /><br />#탄소중립 #탄소배출권 #거래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