글로벌 공급망 강화…IPEF 출범 가속화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우리 정부가 미국 주도의 인도·태평양 경제프레임워크, IPEF 참여를 공식화하면서 그 배경에도 관심이 쏠립니다.<br /><br />새로운 통상 이슈인 글로벌 공급망 강화를 위한 적절한 플랫폼이라는 평가인데, 중국의 반발과 견제가 예상됩니다.<br /><br />김장현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반도체 공정 핵심 재료인 웨이퍼를 치켜듭니다.<br /><br />4차산업 핵심자산인 반도체 공급망 재편 의지를 내보인 장면입니다.<br /><br />오는 24일 공식 출범할 예정인 인도·태평양 경제프레임워크, IPEF도 반도체를 중심으로 한 공급망 이슈와 맞닿아 있습니다.<br /><br />특히, 바이든 대통령이 방한 첫 일정으로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을 선택한 것도 공급망 안정과 기술 동맹을 공고히 하겠다는 의지로 해석됩니다.<br /><br />우리 정부도 IPEF 참여로 반도체 핵심 원자재와 핵심 광물 등의 공급망 다변화와 안정화를 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IPEF는 시장 개방 중심의 기존 무역협정과 달리 공급망과 신산업 중심의 새 경제통상 협력체인데, 미래 산업의 빠른 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지역 내 다자간 협력 플랫폼으로 볼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박선민 / 한국무역협회 통상지원센터 연구위원> "가장 중요한 게 반도체와 배터리가 될 수 밖에 없고요. 공급망 교란에 대응할 수 있게 IPEF 참여국들이 협력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 지금 시점에서 굉장히 중요합니다."<br /><br />IPEF는 무역, 공급망, 청정에너지, 조세와 반부패 등 4개 핵심 분야에 미국을 주도로 한국과 일본, 호주, 뉴질랜드, 싱가포르가 초대 멤버가 될 전망입니다. 관세 인하는 협의 의제에 포함되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다만, 인도·태평양 지역에서 중국을 제외한 나머지 주요국과 협력을 강화하는 모양새 탓에 한국 기업의 중국 시장 내 불이익도 우려되는 상황입니다.<br /><br />우리 정부도 이러한 우려를 의식해 RCEP, CPTPP 등 기존 무역 채널은 유효하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장현입니다.<br /><br />#인도·태평양 경제프레임워크 #반도체 #공급망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