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한미정상은 또 하나, ‘원전’도 동맹을 맺기로 했습니다.<br> <br> 전 정부가 주도한 탈원전 정책을 폐기할 뿐 아니라 중국-러시아에 뺏긴 원전 선두주자 자리를 되찾을 기회를 열겠다는 건데요.<br> <br> 그 의미를 박수유 기자가 짚어보겠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한미 정상은 두 나라가 원전 수출을 늘리기 위해 협력한다고 발표했습니다. <br> <br>[한미정상회담 기자회견] <br>"신형 원자로 및 소형모듈원자로(SMR)의 개발과 수출 증진을 위해 양국 원전 산업계가 함께 노력해 나가기로 하였습니다." <br> <br>차세대 원전으로 불리는 소형모듈원전, SMR 개발을 함께 하겠다는 내용도 공동선언에 담겼습니다. <br><br>SMR은 대형 원전의 100분의 1 크기에 불과해 설치와 관리가 쉽고 안전성도 대형원전보다 높다는 평가를 받습니다.<br> <br>이번 합의는 한국과 미국이 손잡고 중국과 러시아에 내줬던 원전 시장의 주도권을 되찾아오겠다는 목적이 큽니다. <br> <br>미국은 원천 기술을 가졌지만 수십년간 원전을 새로 짓지 않았고 한국은 지난 5년간 '탈원전 정책'으로 산업이 주춤했습니다. <br><br>그사이 중국, 러시아는 2027년까지 건설 예정인 50개 원자로 가운데 각각 15개, 12개를 수주해 세계 1·2위를 차지했습니다.<br> <br>미국 입장에선 시공 능력을 갖춘 한국과 협력을 통해 '원전 종주국'의 위상을 되찾고 한국은 수출을 늘려 무너진 원전 생태계를 복원하려는 겁니다. <br> <br>한미 원전 동맹을 통해 윤석열 대통령이 국정 과제로 내세운 탈원전 폐기 정책도 더 속력을 낼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박수유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이성훈 <br>영상편집 : 이희정<br /><br /><br />박수유 기자 aporia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