중국은 한미 정상회담 결과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를 강하고 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 매체들은 우리나라가 미국의 편에 서서 중국을 억제하는 길에 들어섰다면서 불만을 드러냈습니다. <br /> <br />베이징 연결해 알아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한미 정상회담 이후 중국 반응이 나왔습니까 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오늘이 일요일이어서 중국 외교부의 공식 반응은 없는 상태인데, 관영 매체들이 불만과 우려 섞인 주장을 내놓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는 해외 인터넷판에서 바이든 대통령의 아시아 순방 목적이 중국을 압박하기 위한 것이라고 전제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서 한미동맹 강화를 지향하는 윤석열 정부의 출범을 계기로 미국이 대중 압박에 한국을 끌어들인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미국이 주도하는 IPEF 즉 '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'는 말로만 개방을 지향할 뿐 사실상 중국의 발전을 억제하기 위한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. <br /> <br />인민일보 해외 인터넷판은 또 한국과 중국은 이웃 국가이고 중요한 무역 상대국이기 때문에 한미관계에 종속되면 안 된다고 지적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아울러 한국의 국익이 미국과 정확히 일치하지 않는다면서, 한국이 미국 편을 든다면 미국의 국익에는 맞겠지만 한국의 이익에는 심각한 손상을 입힐 수 있다고 주장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한미 동맹을 강화하면 한국도 손해를 볼 것이라는 것은 구체적으로 어떤 얘기입니까 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우선 IPEF를 통해 한국이 이득을 볼 것이 별로 없을 거라는 주장을 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 정부 매체인 중국 신문망은 일본 교도 통신 을 인용해, IPEF는 관세 인하를 검토하고 있지 않은데, 이것은 미국 시장 진출 확대를 기대하는 아태 국가들에 좋은 점은 아니라고 지적했습니다. <br /> <br />관영 신화통신 국제판도 이런 논리를 제기하면서 미국 주도의 IPEF가 중국 주도로 만들어진 RCEP에 비해 아시아국가들에 가져다주는 이익이 적을 것이라며 견제를 했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 관영 매체들은 또 미국의 동맹 강화가 중국을 포위하려는 거면서 이것은 아시아 국가들이 원치 않는 미중 간 군사 대결을 가져올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. <br /> <br />관영 신화통신 국제판도 미국이 아시아에서 패권적 질서를 구축하려고 함으로써 평화와 안정을 해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렇게 되면 역동적이고 성장 잠재력이 높은 아시아지역의 발전에 위협이 된다는 논리입니다. <br /> <br />따... (중략)<br /><br />YTN 강성웅 (swkang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20522101442883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