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윤석열 대통령은 도발 소식을 듣자마자, 곧바로 출근해 취임 후 첫 NSC 회의를 주재했습니다. <br> <br>대통령실은 북한의 도발에 어떻게 대응할지 3원칙을 밝혔는데요. <br> <br>발사체 종류를 명확히 밝히겠다, 반드시 상응하는 후속조치를 하겠다, 한미 공조로 관리하겠다. <br> <br>도발 때마다 미상의 발사체라며 북한을 자극하지 않으려 했던 이전 정부와 차별화를 염두에 둔 걸로 보입니다. <br> <br>송찬욱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윤석열 대통령은 오늘 취임 후 처음으로 국가안전보장회의, NSC를 주재했습니다. <br><br>윤 대통령은 "한미 정상 간 합의된 확장억제 실행력과 한미 연합방위태세 강화 등 실질적 조치를 이행하라"고 말했습니다.<br> <br>실질적 조치로 핵우산 실행력 시뮬레이션이나 야외기동훈련 등이 검토됐습니다. <br> <br>또 전투기나 핵잠수함, 항공모함 등 미국 전략자산의 전개도 실질적 조치 방안으로 거론됩니다. <br> <br>오늘 NSC에서는 윤석열 정부의 북한 군사행동에 대한 '대응 3원칙'도 세웠습니다. <br> <br>발사체가 방사포인지, ICBM인지 정확히 기술하고, 한미 군사 협조하에 반드시 상응하는 후속조치를 한다는 겁니다.<br> <br>윤 대통령은 정부 성명 발표도 지시했습니다. <br> <br>[강인선 / 대통령실 대변인(정부 성명 발표)] <br>"유엔 안보리 결의를 정면으로 위반한 불법행위이자 한반도와 국제사회의 평화를 위협하는 중대한 도발이다. 정부는 이를 강력히 규탄한다." <br><br>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은 "한미가 동시에 대응했다는 점이 전 정권과 차이점"이라며 "오늘은 비교적 절제된 메시지를 냈다면 앞으로 도발 양태에 따라 추가적인 조치를 검토하고 있다"고 북한에 경고하기도 했습니다.<br><br>윤 대통령은 북한의 미사일 도발을 오전 6시 3분에 보고받고, 6시 30분 NSC 개최를 결정했습니다. <br> <br>곧이어 오전 7시 35분 첫 대통령 주재 NSC가 1시간 가량 진행됐습니다.<br><br>북한의 7차 핵실험도 마지막 준비 단계로 임박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 <br> <br>대통령실은 핵실험 사전 준비를 위한 핵기폭장치 작동시험을 탐지했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송찬욱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: 한규성 조승현 <br>영상편집: 강민<br /><br /><br />송찬욱 기자 song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