유엔 안보리 대북 추가 제재 불발…중·러 '어깃장'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북한의 잇따른 무력 도발에 대한 추가 제재 결의안이 결국 유엔 안보리 문턱을 넘지 못했습니다.<br /><br />당초 예상했던 것처럼 상임이사국인 중국과 러시아가 어깃장을 놨기 때문인데요.<br /><br />김지선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유엔 안보리 회의 중 표결에 부쳐진 대북 추가 제재 결의안.<br /><br />미국은 지난 3월 24일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, ICBM 발사 이후 결의안 초안을 마련해 안보리 이사국들과 논의를 해 왔습니다.<br /><br />5월 안보리 의장국인 미국은 이달 내로 결의안 표결을 추진했고, 마침 지난 25일 북한이 탄도미사일 3발을 발사하자 바로 제재안 표결을 강행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결과는 예상대로였습니다.<br /><br />찬성 13표, 반대 2표로 가결 마지노선인 찬성 9표를 가뿐히 넘겼지만, 반대표를 던진 2개국이 상임이사국인 중국과 러시아라는게 문제였습니다.<br /><br />안보리 결의안은 15개 이사국 중 9개국 이상이 찬성하는 동시에 5개 상임이사국 중 단 한 국가도 반대하지 않아야 통과되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미국은 즉각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습니다.<br /><br /> "오늘 반대는 위험한 것입니다. 그 회원국들은 자신들이 약속했던 유엔 안보리 조치는 물론 우리의 집단 안보를 훼손하는 태도를 취했습니다"<br /><br />반면 러시아와 중국은 대북 제재가 인도주의 관점에서 위험하다면서 정치적, 외교적 해결을 강조하며 기존 입장을 되풀이했습니다.<br /><br /> "당사국들은 제재 이행만을 일방적으로 강조할 것이 아니라 정치적 해결과 시기에 맞는 제재 완화에도 노력을 해야 합니다."<br /><br />당초 미국은 북한의 원유와 정제유 수입 상한선을 반토막 내는 방안을 추진했지만, 찬성표를 늘리기 위해 감축량을 다소 완화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<br /><br />이번 표결은 지난 2017년 12월 22일 안보리가 '북한이 ICBM을 발사할 경우 대북 유류공급 제재 강화를 자동으로 논의해야 한다'는 대북 결의 2397호를 만장일치로 채택한 이후 이를 근거로 처음 이뤄진 것입니다.<br /><br />원칙대로라면 중국과 러시아는 조만간 유엔 총회에서 거부권 행사 이유를 해명해야 하지만, 이는 구속력이 없는 조치인지라 실제 성사될지는 미지수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 김지선입니다.<br /><br />#유엔_안보리 #북한 #추가제재 #불발 #중국 #러시아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