새 대북제재 결의 무산되자 한미일, 내달 3일 서울서 북핵 대면협의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이미 예견이 됐지만 유엔 안보리에서 새 대북제재 결의안 채택이 중국과 러시아의 거부로 무산되자 한미일이 즉각적인 반응을 보였습니다.<br /><br />북한의 핵 위협이 지속하는 상황에서 한미일 3국의 북핵수석 대표들은 다음주 서울에서 만나 구체 협의를 가질 예정인데요.<br /><br />한상용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유엔 안보리에서 미국 주도의 대북 추가 제재 방안이 북한을 두둔해 온 중국과 러시아 반대로 부결되자 우리 정부는 즉각 유감을 표명했습니다.<br /><br />정부는 외교부 대변인 논평에서 "안보리에 대한 국제사회의 신뢰를 크게 훼손시키는 것"이라며 "안보리 이사국들은 북한의 안보리 결의 위반에 대응하고 비핵화를 달성할 수 있도록 책임 있는 역할을 다 해 나가야 할 것"이라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사실상 중국과 러시아를 겨냥해 태도 변화를 촉구한 겁니다.<br /><br />동시에 정부는 북한의 미사일 도발에 이은 핵 위협에 미국, 일본과 긴밀히 공조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.<br /><br />김건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이 일주일 뒤 서울에서 성 김 미국 대북특별대표, 후나코시 다케히로 일본 외무성 아시아·대양주국장과 한미·한일·한미일 북핵 수석대표 협의를 갖기로 한 겁니다.<br /><br />한미일 북핵수석 대표간 대면 협의는 윤석열 정부 출범 후 처음입니다.<br /><br />이들 3개국 북핵 수석대표는 최근 북한의 연이은 도발 등 엄중한 한반도 정세에 대한 평가를 공유하고 북한이 핵실험을 감행할 경우 대응 방향 등을 논의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지금은 북한의 긴장고조 행위를 자제시킬 대안이 필요한 시점이지만, 국제사회에서 북한의 몇안되는 우군인 중국과 러시아가 적극 관여할지는 미지수입니다.<br /><br />미중간 전략경쟁이 심화한 데다 우크라이나 전쟁을 둘러싸고 미러 갈등 또한 깊어졌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다만 중국과 러시아도 국제사회 리더를 자처하는 안보리 상임이사국이어서 북한 도발을 계속 외면하기엔 부담이 작지 않을 것이란 관측도 나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한상용입니다.<br /><br />#김건 #성김 #후나코시다케히로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