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요즘 주유소 지날 때마다 낯선 가격에 눈을 의심하게 됩니다. <br> <br>국내 경유 가격이 리터당 평균 2000원이 넘는 초유의 상황인데요. <br> <br>산업 현장은 그야말로 쇼크 수준입니다. <br> <br>안건우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오늘 자 전국 평균 경유 가격입니다. <br> <br>지난 24일 사상 처음으로 리터당 2천 원 천장을 뚫었고 이제 비싼 곳은 2800원대도 보입니다. <br> <br>직격탄을 맞은 건 화물트럭 기사. <br> <br>정부가 이달부터 유류세 인하 폭을 법정 최대한도인 30%까지 키웠지만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입니다. <br> <br>[오치영/화물차 경력 30년] <br>"제가 운행하는 거리가 300리터 정도 들어가는데 월로 환산한다면 250~300만 원 정도 (추가되는) 더블이라 보시면 돼요." <br> <br>[최재근/화물차 경력 40년] <br>"너무 비싸니까 기름값 비중은 커지지 자동차 다른 소모품·수리비 자꾸 따라 올리니까 감당을 못해요." <br><br>트럭뿐 아니라 승용차, 농기계, 굴착기도 경유로 움직입니다. <br> <br>공장이나 마트, 농지, 건설현장까지 고스란히 경유 쇼크에 노출됐고 물가 인상 도미노도 피할 수 없습니다.<br> <br>앞으로 경제 전체가 곳곳에서 삐걱댈 수 있습니다. <br> <br>문제는 기름값 떨어질 기미가 안 보인다는 겁니다. <br><br>우리가 주로 수입하는 두바이유의 경우 5월 들어 꺾이는가 싶더니 다시 반등해 배럴당 109달러까지 치솟았습니다.<br><br>산유국들의 증산 계획은 없고 중국도 코로나 봉쇄 해제를 준비하면서 기름값이 뛰고 있는 겁니다. <br> <br>[강경우/한양대 교통물류학과 교수] <br>"지정학적 문제가 당분간 끝나지 않을 여지가 많잖아요. 러-우크라 문제도 그렇고. 1~2년간은 직접 운전자들에게 (지원이) 돌아가는 방안을 강구해야." <br> <br>정부는 다음 주 월요일 특단의 민생대책을 내놓는데 임시방편이 아닌 긴 호흡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안건우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: 최혁철 <br>영상편집: 구혜정<br /><br /><br />안건우 기자 srv1954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