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김치 코인' 샀다 평생 모은 돈 가루가…원인은? [탐사보도 뉴스프리즘]<br /><br />[오프닝: 이광빈 기자]<br /><br />시민의 눈높이에서 질문하고, 한국 사회에 화두를 던지며, 더 나은 내일을 만들어 가는 시작합니다! 이번 주 이 주목한 이슈, 함께 보시죠.<br /><br />[영상구성]<br /><br />[이광빈 기자]<br /><br />루나·테라의 폭락 사태는 가상화폐 시장의 '리먼 사태'라고 불릴 만큼 파장이 큽니다.<br /><br />이들 자매 코인이 왜 이 지경에까지 이르게 됐을까요. 투자자들의 피해 호소가 이어지는 가운데, 규제를 촉구하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박진형 기자의 보도입니다.<br /><br />['김치코인' 어쩌다 이 지경…글로벌 가상화폐 거품 꺼지나 / 박진형 기자]<br /><br />국산 가상화폐 루나·테라의 폭락 사태가 세계 가상화폐 시장을 뒤흔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루나와 테라는 애플 등에서 일한 엔지니어인 권도형 최고경영자와 소셜커머스 티몬 창업자인 신현성 씨가 2018년에 설립한 블록체인 기업 '테라폼랩스'가 발행한 가상화폐입니다.<br /><br />회사는 싱가포르에 있지만, 한국인이 운영하는 기업이 발행한 코인이라는 점에서 이른바 '김치 코인'으로 분류됐습니다.<br /><br />테라는 가격이 1달러를 유지하도록 설계된 '스테이블 코인'이며, 루나는 테라 가치를 뒷받침하는 용도로 만들어진 자매 코인입니다.<br /><br />테라는 일반 가상화폐보다 가치가 안정적이라는 장점을 내세워 급성장했습니다.<br /><br />폭락 사태가 펼쳐지기 직전, 테라 시가총액은 무려 186억 달러에 달했습니다. 루나와 합치면 약 406억 달러, 약 51조7천억원 규모의 거대한 '생태계'가 됐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지난 10일 세계적인 투매 행진이 시작되면서 테라 생태계는 파괴됐습니다.<br /><br />알고리즘 기반 스테이블 코인의 구조적 취약성 때문입니다.<br /><br />테라 가격이 1달러 아래로 내려가면 루나 공급량을 늘리고, 1달러보다 높아지면 루나 공급량을 줄이는 식으로 테라 가치가 유지돼야 하는데, 테라 '1달러' 믿음이 깨지자, 자매 코인인 루나가 급락하고 이에 테라 가치가 또 추락하는 악순환인 '죽음의 소용돌이' 현상에 빠진 것입니다.<br /><br />결국 두 코인 모두 99.99% 이상 폭락하며 사실상 휴짓조각이 됐습니다.<br /><br /> "'스테이블 코인'으로 불리는 테라는 미국 달러를 모방하려 했지만 화려하게 실패했습니다. 비트코인을 통해 가치를 뒷받침하려 했지만, 믿을 수 없을 정도로 불안정해지고, 매우 짧은 시간 안에 많은 가치를 잃게 됐습니다."<br /><br />이번 사태가 '가상화폐 시장의 리먼 사태'로 번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확산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가상화폐 대장격인 비트코인도 타격을 입었고, 전체 가상화폐 시총도 2천억 달러 가량 사라졌습니다.<br /><br /> "문제는 이번 위기가 일시적인 가격 하락이 아니라, 여러 비트코인 고래와 글로벌 기업들을 정말로 견제하고 있어 회복되지 못하는 가치 하락일 수 있다는 점입니다."<br /><br />가상화폐 규제에 대한 공감대도 전 세계적으로 형성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국제통화기금(IMF) 총재는 이번 사태에 대해 "자산으로 뒷받침되지 않으면서 20% 수익을 약속하는 것은 피라미드 사기"라고 지적했습니다.<br /><br />미 행정부와 의회 내에서도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규제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가상화폐는 현재 생존 가능성을 시험 중이라는게 시장의 평가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박진형입니다.<br /><br />[이광빈 기자]<br /><br />피해자가 속출하자 국내 거래소는 루나와 테라를 상장폐지했습니다.<br /><br />금융당국도 사태 파악에 나섰지만, 현행법상 가상화폐를 규제하거나 감독할 근거가 없어 모니터링에 그치는 수준입니다.<br /><br />이은정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<br /><br />['루나 사태' 터졌지만 권한없는 당국…입법논의 시작 / 이은정 기자]<br /><br />국내 가상화폐 거래소의 시세 현황 전광판입니다.<br /><br />코인 거래 목록에서 '한국산 코인' 루나와 테라는 찾아볼 수 없습니다.<br /><br />99% 폭락 사태로 휴짓조각이 돼버린 루나와 테라를 거래소들이 상장폐지하기로 했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국내 거래소 중에서는 고팍스가 지난 16일 가장 먼저 루나와 테라를 시장에서 퇴출시켰고, 업비트는 20일, 빗썸은 27일부터 거래지원을 종료했습니다.<br /><br />전문가들은 이번 사태로 개미 투자자들의 타격이 컸다고 분석했습니다.<br /><br /> "개인 투자자들이 많은 시장이다 보니 서민들의 피, 땀, 눈물을 빼먹는 시장인 거예요. 중산층이 무너질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거기서 더 위험이 크다고 생각합니다."<br /><br />금융위원회 금융정보분석원(FIU)의 분석 결과, 지난해 12월 말 기준 가상화폐 이용자의 절반 이상인 56%가 100만원 이하를 보유한 소액 투자자였습니다.<br /><br />루나 사태 여파는 게임업계로까지 불똥이 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최근 게임 회사들이 자체 가상화폐 발행에 나섰는데, 루나와 테라 같은 '스테이블 코인' 방식이라는 점에서 우려가 나오자 여론 진화에 나서는 모습입니다.<br /><br /> "내부 통제에 있어서 다른 어떤 코인 프로젝트들과는 차별점이 있었다."<br /><br />50조원이 증발하고 국내만 28만명 넘는 피해자가 나왔지만 금융당국이 할 수 있는 일은 사실상 없습니다.<br /><br />현행법상 거래소의 자금 세탁만 감시할 수 있을뿐, 직접 테라의 운영을 감독하거나 제재할 권한이 없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부랴부랴 루나 사태와 관련 현황 파악에 나섰지만, 금융 시장으로의 리스크 전이를 점검하거나 일부 업체들을 현장 점검하는 수준입니다.<br /><br />거래소 역시 투자자 보호를 위해 내부적으로 철저한 상장 심사를 하고 있다고 강조하면서도, 적극적인 시장 개입에는 거리를 뒀습니다.<br /><br /> "가상자산 거래소가 시장에 인위적으로 개입하면 시장이 왜곡될 우려가 크다고 생각하여서…"<br /><br />여론에 불이 붙자 국회에 잠들어있던 디지털자산기본법 제정 논의에도 속도가 나는 모습입니다.<br /><br /> "기본법은 바로 진흥과 규율을 동시에 담는 그릇이라고 볼 수 있고….<br /><br />코인으로 코인의 가치를 방어하겠다는 식의 스테이블 코인은 각별하게 규제하고 질서를 .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