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교육감 선거 결과도 보여드리겠습니다.<br> <br>빨간색과 파란색이 비슷해보이죠. <br> <br>전국 17개 시도에서 보수 성향의 교육감이 8명, 진보 성향의 교육감이 9명 당선됐습니다. <br> <br>보수후보 단일화에 실패한 서울에서는 진보 조희연 서울시 교육감이 3선에 성공했고, 단일화에 성공한 경기도는 정 반대 결과가 나왔습니다. <br> <br>장하얀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이 직원들의 환호에 두 손을 번쩍 들어 화답합니다. <br> <br>서울시 첫 3선 교육감으로, 자사고 폐지에 대한 소신을 재차 밝혔습니다. <br> <br>[조희연 /서울시교육감] <br>"(윤석열 정부가) 자사고 폐지 문제에 있어서는 다수의 학부모들, 일반고 학부모들의 소망이 있기 때문에 좀 진지한, 검토를 해주시기를 오히려 바라고 있습니다" <br><br>조희연 교육감의 득표율은 38.1%로 2위 후보보다 14%포인트 이상 앞섰지만, 중도·보수 진영 세 후보의 득표율 합은 <br>53%를 넘겼습니다.<br><br>앞선 두 번의 교육감 선거에서처럼 보수 분열이 조 교육감 3선에 결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.<br><br>반면 경기도는 일찌감치 보수 후보 단일화를 성사시킨 임태희 후보가 당선됐습니다.<br> <br>'진보교육 1번지'로 불리는 경기도에서 첫 보수 교육감입니다. <br> <br>[임태희 / 경기도교육감 당선인] <br>"지금 경기 교육은 획일, 편향, 현실안주 교육이라고 저는 평가합니다. 그래서 이걸 자율, 균형, 미래지향 교육으로 바꾸도록 하겠습니다." <br><br>부산 제주 충북을 포함해 중도·보수 진영은 전체 17곳 중 절반 가까운 8곳을 차지했는데, 진보 진영이 8년 전 13곳, 4년 전 14곳을 싹쓸이 한 것과 비교하면 선전한 셈입니다.<br> <br>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는 "독주 진보교육에 대한 국민의 심판"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한편, 교육감 선거에서는 무효표와 기권이 전체 선거인 수 대비 51%를 넘겨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. <br> <br>후보는 많고, 정당과 기호도 없이 이름만 보고 투표하다보니 역대급 무관심 선거로 치러졌다는 분석이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장하얀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: 박희현 이락균 <br>영상편집: 최동훈<br /><br /><br />장하얀 기자 jwhite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