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887년부터 1888년까지 구한말 미국 주재 대사 격인 초대 주미전권공사를 지낸 박정양의 미국 활동을 담은 사진이 처음으로 발견됐습니다. <br /> <br />주미대한제국공사관은 현지 시각 2일 특파원 간담회를 열고 주미 공사관원들의 미국 내 활동을 담은 2장의 사진을 공개했습니다. <br /> <br />공사관 측은 이 사진은 우리나라 공식 외교관원이 미국의 기관을 방문한 가장 오래된 사진으로 여겨진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현재까지 주미공사 관원들의 활동은 기록과 그림으로만 전해진 만큼 사진이 처음 발견됐다는 점에서 중요성이 크다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공개된 두 장의 사진 중 한 장은 박정양이 공사관원들과 함께 한복을 입은 채 1888년 4월 26일 미국 초대 대통령인 조지 워싱턴의 사저 마운트 버넌을 방문한 모습을 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공사관은 박정양이 1887년 8월 초대 공사에 임명됐지만, 중국의 공사 파견 반대와 배편을 통한 장기 여행 등으로 1888년 1월 1일 샌프란시스코에 도착했고 워싱턴DC에는 같은 해 1월 9일 당도했으며 17일 그로버 클리블랜드 당시 대통령에게 신임장을 전달했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박정양은 미국 방문 당시를 기록한 '미행일기'에 마운트 버넌 방문과 관련해 "공사관원들과 알렌 가족을 대동하고 마은포에 갔다. 워싱턴의 옛집을 보았다"고 적었습니다. <br /> <br />또 다른 사진은 을사오적이자 친일반민족행위자인 이완용과 이완용의 부인, 역시 친일반민족행위자인 이하영과 4대 주미전권공사를 지낸 이채연과 부인의 모습이 담겼습니다. <br /> <br />고증에 참여한 배재대 김종헌 교수는 "박정양이 그의 문집에서 조지 워싱턴을 여러 차례 언급하고 마운트 버넌 방문을 중요하게 서술한 것은 조선의 자주독립을 위한 노력 때문"이라며 "귀국 후 독립협회를 적극적으로 지원한 것 역시 같은 맥락에서 평가할 수 있다"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강태욱 (taewookk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20603054852935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