나흘째 들어 꺼진 밀양 산불은 소방용 임도가 없는 사유림에서 발생해 방화선 구축이나 진화대원 진입이 어려웠습니다. <br /> <br />이 때문에 산불 영향 구역, 즉 피해 면적이 애초 예상과 달리, 올해 들어 발생한 산불 가운데 4번째로 클 정도로 컸습니다. <br /> <br />이윤재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산 정상 주변이 새카만 잿더미가 됐습니다. <br /> <br />그 아래 산 중턱에 있던 나무는 뜨거운 불길에 말라 붉게 변했습니다. <br /> <br />꼬박 사흘 동안 불타고, 나흘째 들어서야 겨우 꺼진 밀양 산불. <br /> <br />산은 검게 물들었고, 나뭇잎은 바짝 말라 죽어 버렸습니다. 이번 산불로 산림 763ha가 이렇게 폐허로 변해버렸는데, 산 어디에서도 임도는 찾을 수 없었습니다. <br /> <br />임도는 산불이 났을 때 방화선 역할을 하는 동시에 산불 진화 대원과 장비가 진입할 수 있는 중요한 통로가 됩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밀양 산불 발생 지역은 대부분 개인 소유인 사유림으로 임도가 설치되지 않아 진화에 애를 먹었습니다. <br /> <br />[남성현 / 산림청장 : 이 지역은 특히 사유림 지역입니다. 임도가 없기 때문에 차량이나 인력을 현장에 투입하는데 상당히 어려움을 겪었습니다. <br /> <br />산불 현장을 발로 뛰며 불을 끈 진화 대원도 접근이 어려운 탓에 작업 강도가 더 높았습니다. <br /> <br />[신훈범 / 산림청 공중 진화 대원 : 산세가 험한 부분도 있는데…. 낙엽이 많이 쌓여있습니다. 두껍게 쌓여 있다 보니 우리가 산에 올라갈 때 미끄러짐이라든지 이런 부분이 많았습니다.] <br /> <br />비단 밀양만의 문제는 아닙니다. <br /> <br />우리 나라 임도 밀도는 1ha에 3.66m로 독일이나 오스트리아와 비교하면 7% 정도이고, 가까운 일본과 비교해도 4분 1 수준에 그칩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예산 부족과 산림 소유자들의 협조 문제 등으로 설치가 차일피일 미뤄지는 실정입니다. <br /> <br />[박상준 / 경북대 임학전공 교수 : 도로가 개설되면 역세권이 만들어지듯이 임도 개설도 산림 경영을 더 효율화시키고, 산불 등의 방화선 및 진화 도로로서 크게 기여해 산림의 가치를 크게 높입니다.] <br /> <br />당장은 산을 깎고 길을 내는 게 산을 해치는 것처럼 보이지만, 위급한 상황에 산과 숲을 더 안전하게 지키려면 임도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로 손꼽힙니다. <br /> <br />YTN 이윤재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이윤재 (lyj1025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20603193521575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