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 "대중 고율관세 어쩌나"…인플레 속 깊은 고민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미국은 트럼프 행정부 시절 중국의 잘못된 무역 관행을 바로 잡겠다며 중국산 제품에 높은 관세를 물려 중국과 관세 전쟁을 시작했는데요.<br /><br />바이든 행정부도 이런 기조를 이어왔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최근 우크라이나 사태에 따른 살인적 인플레 때문에 미국의 고민이 깊습니다.<br /><br />이봉석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고율 관세 완화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힌 건 지난달 말.<br /><br /> "귀국하면 장관과 얘기합니다. (관세 완화를) 고려하고 있습니다. 우리는 어떤 관세도 부과하지 않았습니다. 전임 정부가 부과한 것이고 현재 검토 중입니다."<br /><br />하지만 바이든 행정부 내에서 의견은 엇갈립니다.<br /><br />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은 소비자와 기업에 더 큰 피해를 주는 것으로 보인다며 일부 대 중국 관세의 철폐 필요성을 거론했지만, 캐서린 타이 미 무역대표부 대표는 중국의 불공정 관행을 개선하지 않은 채 관세를 철폐하는 건 전략적이지 않다고 주장했습니다.<br /><br />우크라이나 전쟁 속에 미국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지난 3월 40여 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정권 지지율을 뒤흔들 정도의 인플레이션이 대중 관세 폭탄 철폐 검토의 배경입니다.<br /><br />반면에 고율 관세 부과의 근거였던 중국의 불공정 무역 관행이 시정되지 않은 상황에서 11월 중간선거를 앞두고 반중 정서를 고려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만만치 않습니다.<br /><br />바이든 행정부의 고심은 사라 비앙키 USTR 부대표의 로이터통신 인터뷰에서도 읽힙니다.<br /><br />비앙키 부대표는 "모든 것이 테이블 위에 올라와 있다"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이런 가운데 중국은 고율 관세 철폐에 따른 이익이 미국과 중국에만 국한되지 않을 것이라며 미국을 압박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중국 제품에 대한 관세 철폐는 중국과 미국 기업의 이익뿐만 아니라 수많은 미국 소비자의 이익과 전 세계 사람들의 공동 이익에도 부합합니다."<br /><br />미중 패권 경쟁의 단면인 양국 간 무역 분쟁 추이에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의 이목이 쏠리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 이봉석입니다.<br /><br />#미중_패권_다툼 #미중_무역분쟁 #대중_관세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