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 사람의 세계에선 노인이 어린아이의 싱그러움을 쫓아갈 수 없지만 식물, 나무만큼은 나이 들어갈수록 울창하고 멋지고 아름답죠.<br> <br> 속도 그럴까요?<br> <br> 서울 곳곳에 평균 300살 넘은 나무들, 사람처럼 속이 곯진 않았는지 어디 부러진 데는 없는지 한번 들여다 봤습니다.<br> <br> 장하얀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도로 가운데 뿌리내린 커다란 나무, 조선시대 이후 584년을 살아 지난 1968년 서울시가 보호수로 지정한 느티나무입니다. <br> <br>나무에 금속 센서를 붙이고, 특수 망치로 센서를 두드리자 컴퓨터 화면에 내부 모습이 표시됩니다. <br> <br>짙은 색은 건강한 부분, 연한 색은 비어있거나 연약한 곳입니다. <br><br>센서 간 음파가 도달하는 시간 차이를 측정해 내부상태를 살펴보는 겁니다. <br> <br>사람으로 따지면 CT검사를 하는 것과 비슷합니다. <br> <br>[이규범 / 나무병원 원장] <br>"사람으로 말하면 골다공증이 일부 들어가있는 건 사실이에요. 지속적으로 보호관리를 해줄 필요는 있죠." <br><br>나무 내부를 특수 드릴로 추가로 확인해보겠습니다. <br> <br>그래프가 일직선으로 나타나는데요. <br> <br>겉으로 보기엔 멀쩡해보이지만, 속은 비어있는 걸 나타냅니다.<br> <br>1981년 보호수로 지정된 수령 367세 느티나무. <br> <br>지난해 큰 가지가 부러져 치료를 받았습니다. <br> <br>특수 센서를 꽂고 나무가 잘 회복되고 있는지 확인합니다. <br> <br>[주병훈 / 나무병원 원장] <br>"여기 상처가 난 부분이 있는데 이런 부분들이 1년 조금 지났는데 잘 아물고 있어요" <br> <br>수령 884세 방학동 은행나무를 비롯해 서울시가 지정한 보호수는 204그루. <br> <br>평균나이는 3백 살이 넘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지난해 10월 돌풍에 115년 된 보호수가 쓰러지는 등 나무 상태가 약해지자 서울시는 대대적인 정밀 진단에 나서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[배시연/ 서울시 푸른도시국] <br>"원래는 일상적인 유지관리를 하고 있었지만, 나이도 많이 들고, 어르신 나무 건강을 위해 내부 진단을 진행하게 됐습니다." <br> <br>서울시는 정밀 진단에서 문제가 발견되면 수술 등 특별관리를 할 방침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장하얀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: 강승희 <br>영상편집: 이혜리<br /><br /><br />장하얀 기자 jwhite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