경찰 단속에도 일부 홍콩 시민 톈안먼 추모…미국·대만도 지지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6·4 톈안먼 민주화 시위 33주년이었던 어제(4일) 홍콩 도심은 희생자 추모 분위기를 단속하려는 경찰들로 가득했습니다.<br /><br />강력한 통제에도 일부 시민들은 거리로 나와 희생자들을 추모했는데요.<br /><br />베이징 임광빈 특파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홍콩 시내 중심 빅토리아공원 입구를 경찰들이 둘러쌌습니다.<br /><br />톈안먼 민주화 시위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사람들이 모여들 것을 경계하며 단속을 강화한 겁니다.<br /><br /> "경찰은 우리가 허가받지 않은 집회를 열 것이라며, 여기에 계속 머물 경우 체포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."<br /><br />이 같은 삼엄한 분위기 속에서도 일부 시민들은 촛불을 든 채 저항 의지를 굽히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 "이것은 6월 4일을 기념하기 위한 것입니다. 해마다 이렇게 해야 합니다."<br /><br />홍콩 주재 미국 총영사관은 창가에 촛불을 밝혀 홍콩 시민들을 응원했습니다.<br /><br />톈안먼 시위에 대한 유혈진압을 '잔인한 폭력'으로 규정하고, 해마다 희생자들을 기억하겠다고 한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의 성명도 페이스북에 올려놓았습니다.<br /><br />주홍콩 EU사무소와 영국 총영사, 캐나다 영사관 등도 SNS를 통해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한편 홍콩 시민과 연대의 뜻도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중국은 물론 홍콩에서조차 톈안먼 지우기가 본격화되는 가운데, 대만에서는 대규모 추모행사가 열렸습니다.<br /><br /> "홍콩이 톈안먼 시위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동안 대만도 나름의 추모행사가 있었지만 규모가 작았습니다. 홍콩이 더이상 기념행사를 열 수 없기 때문에 홍콩에 대해서도 조금 더 신경을 써야 합니다."<br /><br />차이잉원 대만 총통은 홍콩에서 톈안먼 관련 집회가 불허된 데 대해 "난폭한 수단으로 사람들의 기억을 지울 수 없다고 믿는다"는 글을 SNS에 남겼습니다.<br /><br />중국에서는 각종 SNS와 인터넷 사이트에서 유지 관리를 명목으로 검열이 강화됐다고 홍콩 명보가 전했습니다.<br /><br />톈안먼 사태를 상징하는 89위안'과 64위안의 송금이 차단되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베이징에서 연합뉴스TV 임광빈입니다.<br /><br />#톈안먼_민주화_시위 #홍콩 #추모집회 #대만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