러시아 또 핵위협…핵무기가 노골적 협박 카드 된 시대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침공을 시작하면서 서방에 핵위협을 가했습니다.<br /><br />비슷한 경고는 개전 100일이 지난 시점에 최측근 입을 통해 되풀이됐는데요.<br /><br />이같은 발언들은 핵보유국과 비보유국 모두에게 적지 않은 파장을 일으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김지선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또다시 핵전쟁을 언급하며 서방을 위협하고 나선 이는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 국가안보회의 부의장.<br /><br />지난 2008년부터 4년간 러시아 대통령을 지낸 인물이자 푸틴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꼽힙니다.<br /><br />메드베데프 부의장은 알자지라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"핵전쟁이 불가능하다고 말하는 것은 오산"이라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그는 "핵전쟁이 절대 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불가능하다고 말하는 것은 틀리다"며 "핵무기는 이미 역사적으로 사용된 사례가 있다"고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또, 핵무기가 아닌 재래식 무기를 통해서라도 국가 존립을 위협할 정도로 공격 받는다면 핵무기로 보복하겠다고 으름장을 놨습니다.<br /><br />전문가들은 러시아 측이 미국 등 서방의 직접 군사개입을 차단하기 위해 이같은 협박성 발언을 한다고 보고 있습니다<br /><br />하지만 위기에 봉착한 러시아가 실제로 핵무기 같은 대량살상무기를 사용할 가능성도 배제할 순 없습니다.<br /><br />영국 시사주간지 이코노미스트는 이를 두고 '이미 인류가 새로운 핵질서 시대에 접어들었다'고 분석했습니다.<br /><br />푸틴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에 진짜 핵을 떨어트리지 않더라도 핵무기에 대한 언급만으로도 국제 사회가 움찔했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안보 취약국들이 이를 핵 확보가 필요하다는 시그널로 여기는 동시에 핵보유국들이 푸틴의 전술을 따라하게 되면 언제 어디서 핵전쟁이 현실화 될지 모른다는 설명입니다<br /><br />여기에 북한과 중국 등도 핵무장 강화에 속도를 내면서 핵무력 사용을 공공연한 협박 카드로 들이미는 '제2의 핵무기 시대'가 도래했다고 뉴욕타임스는 전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 김지선입니다.<br /><br />#핵무기 #핵위협 #핵질서 #러시아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