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진행 : 박석원 앵커 <br />■ 출연 : 이혜정 / 교육과혁신연구소장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지난 6.1 지방선거에서는 각 시도 교육감도 선출했는데요. 전국적으로 보수 후보가 약진하면서8년 동안 이어져 온 진보 교육감 전성시대가 사실상 막을 내렸습니다. 앞으로 교육 정책에도 상당한 변화가 예상되는데요. <br /> <br />당장 진보 교육감이 재당선된 서울지역 학생과 보수 교육감으로 대체된 경기지역 학생만보더라도 교육정책 차이로 다른 교육을 받게 되는 것이냐는 학부모들의 의문도 있는 게 사실입니다. <br /> <br />이런 점, 이혜정 교육과혁신연구소장과 함께 진단해 보겠습니다. 어서 오십시오. 일단 지방선거 끝나고 나서 유권자들, 특히나 교육감 선거에는 비교적 상대적으로 관심은 떨어졌습니다. 교육 소통령이라고 불릴 정도인데 어느 정도의 권한이 있는지 건지부터 설명을 해 주시죠. <br /> <br />[이혜정] <br />세종을 제외한 제일 작은 도인 제주도가 연간 1조 4000억을 집행하고요. 서울시는 10조 5000억, 가장 큰 경기도는 19조 2000억을 쓰는데 사실 외교부나 문체부나 환경부 예산이 각각 6조, 9조, 12조입니다. <br /> <br />그러니까 그것보다 훨씬 더 많은. 그리고 경기도 전체 예산이 33조인 것에 비해서 경기도 전체 예산은 전체 살림인데 그것 말고 별도로 한 가정에서 33조는 전체 예산인데 교육은 따로 쓰는 겁니다, 추가로. 그러니까 굉장히 큰 예산과 막대한 권한인 건 분명합니다. <br /> <br /> <br />그러면 막대한 권한을 갖고 있던 교육감, 지난 8년 동안은 진보 교육감 전성시대다, 이렇게 불릴 정도였는데 이번 선거를 통해서 거의 반반으로 나뉜 상황입니다. 배경은 어디에 있다고 보십니까? <br /> <br />[이혜정] <br />정확하게 보면 경남이 0.47%로 새벽 5시 반 넘어서 신승했거든요. 그전까지 계속 8:8이었고 그리고 경남도 사실 그 정도면, 0.47%면 그냥 절반이라고 봐야 되는 것 같습니다. <br /> <br />그래서 사실 이번 선거의 결과는 유권자들은 보수적인 교육가치와 진보적인 교육가치를 같이 가라. 그러니까 한쪽으로 쏠리지 말고 같이 가라라는 그런 메시지를 전달한 것이 아닌가 이런 생각이 듭니다. <br /> <br /> <br />보수와 진보 교육감 반반 나눠서 유권자들도 그런 균형 잡힌 교육 정책을 가져가라, 이런 민심의 목소리다, 이렇게 말씀해 주셨는데 한편으로는 코로나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20606102730280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