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지난 정부는 신혼희망타운을 대대적으로 공급했죠. <br> <br>쉬운 입주를 위해 중도금을 건너 뛰도록 조건을 바꿨는데도, 아직 미계약인 곳이 많습니다. <br> <br>신혼부부들이 왜 신혼희망타운을 피하는지 이민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이번 달 입주 예정인 전북 완주의 신혼희망타운입니다. <br> <br>그런데 546세대 중 24세대가 아직 미계약 상태입니다. <br> <br>2020년 첫 분양 때도 39세대만 신청할 만큼 찬바람이 불었는데 입주자 추가 모집만 벌써 다섯 번째입니다. <br> <br>이번엔 아예 중도금을 없애고, 계약금과 잔금만 내도록 조건을 바꿨지만 입주자가 나올지는 미지수입니다. <br> <br>[전북 완주 공인중개사] <br>"여기가 투자로 들어가라 말씀드리기에는 지역이 완주로 돼 있고, 완주가 전주가 통합하지 않는 이상은 투자 가치로 그렇게까진 아니에요." <br> <br>공단 옆 허허벌판에 지어져 땅값은 싸지만 주변엔 아무것도 없습니다. <br> <br>완주 삼봉뿐 아니라 전국 각지 신혼희망타운에서 미계약분 추가 모집 공고가 올라오는 상황. <br> <br>이렇게 인기가 없는 건 입지 문제도 있지만 너무 작은 평수도 한몫합니다. <br> <br>[문재인 전 대통령 (2020년)] <br>"정말 젊은 신혼부부들 선호하는 사람들이 많겠는데요." <br> <br>문재인 전 대통령은 44㎡ 13평형을 둘러보며 "신혼부부와 아이 2명도 가능하겠다"고 했지만 현실은 달랐습니다. <br> <br>예산은 없고 주택 숫자는 늘려야 하다 보니 벌어진 일인데 결국, 신혼희망타운은 역사 속으로 사라질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국토부는 신혼희망타운 면적 규정을 삭제하고 앞으로는 국민 평형으로 불리는 84㎡로 공급할 계획입니다. <br> <br>새 정부가 추진 중인 청년 원가 주택, 역세권 첫 집 사업과 함께 신혼희망타운도 새로운 이름으로 돌아올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이민준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: 김민석(스마트리포터) <br>영상편집 : 조성빈<br /><br /><br />이민준 기자 2minjun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