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민주당은 화물연대 파업에 대해 정부 여당의 책임이라고 말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4년 전 안전운임제 입법을 주도했던 민주당 역시 책임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> <br>유주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민주당은 화물연대와 간담회를 열어 정부 여당에 파업 책임을 물었습니다. <br> <br>[박홍근 /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] <br>"올해 말 3년 일몰제를 앞두고 정작 이 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야하는 국토교통부는 대책 마련도 입장표명도 없이 책임을 방기하고 있습니다." <br><br>하지만 민주당 역시 화물 기사들에게 적정 임금을 보장해주는 대신 과속 등을 못하게 하는 안전운임제 논란의 책임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> <br>4년 전 당시 여당이던 민주당 주도로 안전운임제를 2020년 1월부터 3년간 한시적으로 도입하면서 일몰 1년 전 국토부 보고를 받아 연장 여부를 재논의하기로 했지만 제대로 지켜지지 않았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[이헌승 / 당시 자유한국당 의원(2018년 3월)] <br>"일몰 1년 전에 국토부 장관이 안전운임제 시행 결과를 분석해 가지고 연장의 필요성이라든지 제도 보완사항 등을 국회에 보고를 해 가지고…." <br> <br>[김현미 / 당시 국토교통부 장관(2018년 3월)] <br>"저희 국토부는 일단 수용하겠습니다." <br> <br>[윤상직 / 당시 자유한국당 의원(2018년 3월)] <br>"이게 잘못하면, 입법 선례가 되면 일파만파가 될 겁니다. 제2소위에 넘겨서 심도 있는 논의를 해야 된다." <br> <br>[이춘석 / 당시 더불어민주당 의원(2018년 3월)] <br>"만일 이것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있다고 하면 다시 시정하면 되는 것이지" <br> <br>일몰 1년 전은 정권교체 전으로 당시 보고 책임은 문재인 정부 국토부에 있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국토부는 이해관계자간 의견 차가 크다며 시범운영 결과를 국회에 보고하지 않았습니다. <br> <br>민주당 역시 대통령선거와 지방 선거 국면을 거치며 왜 보고를 하지 않았냐고 묻지 않았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유주은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: 이 철 <br>영상편집 : 김태균<br /><br /><br />유주은 기자 grace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