소통은 강화했지만…커지는 '검찰 편중 인사' 논란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윤석열 대통령 취임 이후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'출퇴근하는 대통령'입니다.<br /><br />출근길에 기자들과 질의응답도 하면서 소통을 강화하는 모습인데요.<br /><br />하지만 한켠에선, 검찰 출신을 주요 요직에 채우면서 검찰공화국이 현실화했다는 비판도 잇따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준흠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청와대 출입기자들조차 대통령 얼굴 한번 보기 힘들었던 전임 정부 때와 달리, 윤 대통령은 특별한 일이 없으면 출근 때마다 대통령실 청사에서 취재진과 약식 질의응답을 갖습니다.<br /><br /> "저는 원래 한달됐다 일년됐다 특별한 소감같은 거 없이 살아온 사람이고, 열심히 해야죠. 시급한 현안이 한두가지가 아닙니다."<br /><br />대통령과 '셀카'를 찍었다는 시민도 늘어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청사 인근 식당이나 동네 백화점 등에서 심심찮게 대통령의 모습이 포착되는 것도, 권위주의를 내려놓은 '소통' 이미지를 부각하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됩니다.<br /><br />반면, 취임 한 달 동안, 윤 대통령을 향한 가장 큰 비판은 인사 문제입니다.<br /><br />'검찰 편중 인사' 지적에도 이를 수용하지 않는 모습을 보이면서, 야권의 비판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윤석열 정부의 검찰 출신 인사는 장·차관급 7명 대통령실 비서관급 이상 6명입니다.<br /><br />한동훈 법무부 장관을 비롯해 조상준 국가정보원 기획조정실장, 이완규 법제처장, 또 대통령실의 인사·총무 등을 담당하는 주요 요직 모두 전직 검찰 출신입니다.<br /><br />야권에서 '소통령'이라며 문제 삼은 한동훈 장관 임명 때부터 논란이 불거지기 시작했고, 특히 여태 검찰 출신이 맡은 전례가 없는 국가보훈처장, 금감원장 자리까지 검찰 출신이 차지하면서, 편중 인사를 지적하는 목소리는 더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앞서 내각에 여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에 "정신이 번쩍 들었다"고 했던 윤 대통령은, 이번에는 이같은 인사 기조를 바꿀 생각이 없음을 시사하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 "과거 정권에서도 그 전례에 따라 법률가들이 갈만한 자리들에 대해서만 배치를 했고, 필요하면 해야죠."<br /><br />난항을 겪고 있는 내각 구성 완료 역시 윤 대통령의 숙제로 남아 있습니다.<br /><br />앞서 '아빠 찬스' 논란 속에 교육부,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가 낙마했는데, 후임으로 지명한 박순애, 김승희 후보자 역시 음주운전과 이해충돌 의혹을 받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준흠입니다. (humi@yna.co.kr)<br /><br />#윤석열_대통령 #출근길 #소통 #검찰_인사 #한동훈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