재택근무·원격수업 늘며 식습관 불규칙해진 듯 <br />가족·친지 없이 혼자 식사하는 ’혼밥’도 증가 <br />간편식 위주 ’혼밥’하면 필수 영양소 섭취 부족 <br />끼니 거르는 불규칙한 식습관 ’비만’ 부를 수도<br /><br /> <br />코로나19가 유행한 뒤 끼니를 거르거나 혼자 밥 먹는 사람이 크게 늘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식습관이 장기간 이어지면 영양결핍뿐 아니라 비만을 부를 수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. <br /> <br />김평정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우리 일상을 바꾼 코로나19 대유행은 식습관에도 큰 변화를 가져왔습니다. <br /> <br />질병관리청이 코로나19 유행 직전과 직후의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분석했더니 <br /> <br />식사를 걸렀다고 답한 비율이 코로나19 유행 이후에 아침과 점심, 저녁 식사 모두 증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점심 결식률은 2019년까지 연도별로 큰 변화가 없었지만 2020년에 유독 크게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코로나19로 외출이 줄고 재택근무나 원격수업이 늘면서 식습관을 불규칙하게 만든 것으로 풀이됩니다. <br /> <br />가족이나 친지 없이 혼자 식사하는 이른바 '혼밥'을 하는 경우도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아침과 점심, 저녁 식사 모두 '혼밥'하는 비중이 커졌는데 학생들의 단체급식이나 직장 동료와의 식사와 회식이 줄어든 영향으로 분석됩니다. <br /> <br />혼자 식사할 때 라면이나 빵 같은 간단한 음식을 주로 먹으면 단백질과 칼슘, 철분 등의 필수 영양소 섭취가 부족해질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또, 끼니를 거르는 등 불규칙한 식습관은 오히려 비만을 불러올 수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[강재헌 / 강북삼성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: (끼니를 거르면) 야간에 간식이나 야식을 할 위험이 높기 때문에 체중이 줄기보다는 오히려 비만의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. 또 하나의 문제는 정상적인 영양 균형을 맞춘 식사를 하는 빈도가 줄다 보니까 영양 결핍이 올 가능성이 (커질 수 있습니다.)] <br /> <br />1인 가구가 늘고 비대면 소통이 증가하는 상황을 고려하면 '혼밥'같은 식습관은 코로나19 이후에도 증가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지속적인 식습관 변화는 건강 상태에도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만큼 앞으로 감염병 유행 등 다양한 상황에 대비한 영양교육 방안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. <br /> <br />YTN 김평정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평정 (pyung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20611055453063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