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화물연대 파업 닷새째...장기화 조짐에 우려 커져 / YTN

2022-06-11 38 Dailymotion

전국 주요 항, 컨네이너 장치율 증가 추세 <br />부산항 등 전국 12곳, 장치율 70.8%로 늘어 <br />부산항, 장치율 77.5%로 지난달 대비 7.5% 상승<br /><br /> <br />민주노총 화물연대가 파업한 지 오늘로 닷새째입니다. <br /> <br />파업이 길어지면서 전국 곳곳에서 물류 운송과 함께 생산 등의 차질이 이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박종혁 기자! <br /> <br />오늘 주말인데, 여전히 전국 각지에서 화물연대 조합원들의 파업과 집회가 이어지고 있다고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 그렇습니다. <br /> <br />컨테이너 물동량이 가장 많은 부산 신항은 주말에도 화물연대 노조원들의 집회가 이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부산 신항의 경우 각 부두 출입구 5곳에서는 화물연대 조합원 천여 명이 집회를 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 가운데 수백 명은 철야 집회를 이어가고 있다는 게 화물연대 관계자의 설명입니다. <br /> <br />파업이 이어지면서 컨테이너 물류의 관문인 전국 주요항의 컨테이너 보관 비율 즉, 장치율이 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부산항과 인천항 등 전국 주요 12개 항의 장치율은 어제(10일) 기준 70.8%인데요, <br /> <br />지난달 65.8%였던 것과 비교해 파업 이후 어제 기준으로 5% 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물동량이 가장 많은 부산항의 경우 어제(10일) 기준으로 77.5%입니다. <br /> <br />지난달 기준으로 70%이던 장치율이 7.5%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사정이 이렇다 보니 부산항의 배후 물류단지들도 비상입니다. <br /> <br />부산 신항의 물류센터들은 파업 이후 야적장의 컨테이너가 2배로 늘었다고 토로합니다. <br /> <br />수출입 물량이 꼼짝없이 발이 묶인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화물연대 파업이 장기화 조짐을 보이면서 산업 현장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면서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그렇습니다. 자동차, 철강, 레미콘과 시멘트 업계 등 산업 현장 전반이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포스코 광양제철소 경우, 화물연대 총파업 이후 철강 제품 4만 5천t 이상이 출하되지 못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광양제철소는 급한 물량을 철도와 선박으로 대체해서 운송하고 있는 실정입니다. <br /> <br />철강 부품이 많은 경남의 조선소는 기자재나 선박의 블럭 운송이 중요한데요, <br /> <br />파업 이전에 급한 물량은 처리를 했지만 파업이 장기화 될 경우 생산에 차질이 불가피한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울산 현대차의 경우 부품 공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생산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강원과 충북 등 시멘트 공장의 출하가 중단되면서 전국 레미콘 공장의... (중략)<br /><br />YTN 박종혁 (johnpark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20611095808812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