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 <br>물가대란이 닥친 건 우리도 마찬가집니다.<br> <br> 국내 기름값, 오늘 역대 최고가를 기록했습니다. <br><br>리터당 평균 휘발유 값이 2064, 10년 만에 기록을 바꿨습니다. <br> <br> 식료품 물가도 마찬가진데 우크라이나 상황때문에 국제 곡물가격이 뛰면서 특히 돼지 농가 한숨이 깊습니다.<br> <br> 사료값이 고깃값보다 가파르게 올라 이러다 돼지 굶길라 걱정부터 앞섭니다. <br><br>이민준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 <br>경기도 양주에서 4,500마리 돼지를 키우고 있는 조영욱 씨. <br> <br>한 달 평균 사용하는 사료량만 250톤.<br> <br>1억 5천만 원 정도 됩니다. <br> <br>그런데 요즘은 지난해부터 계속 치솟는 사룟값에 한숨만 나옵니다. <br> <br>[조영욱 / 돼지농장주] <br>"kg당 가격이 평균적으로 440원대 먹이다가 지금은 (kg당) 720원대 사료를 먹입니다. 사료비가 (생산비의) 60%를 차지했는데 지금 80%의 사료비를 감당해야 하는 게 너무 힘듭니다." <br><br>돼지농가는 주로 배합 사료를 사용하는데, 주원료인 옥수수 수입 가격이 폭등하고 있는 겁니다. <br><br>한국의 경우 사료용 곡물의 자급률은 1% 수준으로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.<br> <br>최근 돼지고기 수요가 늘면서 돼지 출하 가격이 올랐지만, 사룟값은 더 가파르게 올라 농가들이 손해 보는 구조가 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[조윤상 / 경기 양주 돼지농장주] <br>"(돼지를) 단기적으로 며칠 정도는 굶기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죠. IMF 때도 그런 일이 발생을 했어요. 진짜로. (지금 그 정도 위기라고 보시는 거예요?) 그럼요 더 심한 위기일 수 있어요." <br> <br>올 하반기에도 사룟값 인상 요인은 여전히 남아있습니다. <br> <br>[김종진 /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] <br>"하반기가 걱정이죠. 우크라이나 사태가 터지면서 그때 구매된 것은 하반기에 들어오겠죠. 가뜩이나 (곡물 가격이) 올라간 부분에서 플러스 되니까 하반기 물가상승 압력이 더 커질 수 있죠." <br> <br>국제 곡물가 폭등에 고기를 사먹는 소비자도, 생산하는 농장주도 시름이 커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이민준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: 한일웅 <br>영상편집 : 형새봄<br /><br /><br />이민준 기자 2minjun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