"수입 수산물 가격, 반년 만에 최대 30% 올라" <br />러시아 침략 전쟁도 요인…러시아산 수급 차질 <br />"2∼3주 기다려야 공급…가격 상승으로 이어져" <br />화물연대 파업 이후 수입 수산물 세관에 발 묶여<br /><br /> <br />유가 급등에 화물연대 파업까지 계속 이어지면서 해외에서 들여오는 수입 농수산물도 직격탄을 맞았습니다. <br /> <br />원활한 수급이 이뤄지지 않으면서 가격 상승으로도 이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자세한 상황, 취재기자 연결해 알아봅니다. 황보혜경 기자!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서울 마포농수산물시장에 나와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수산물은 특히 물류 차질에 곧바로 영향을 받을 텐데요. <br /> <br />상인들 입장은 어떤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이곳은 지중해에서 잡은 참치나 블랙 타이거 새우 등 수입 수산물을 주로 판매하는 곳입니다. <br /> <br />유가가 가파르게 오르면서 반년 사이 가격이 15~30%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이곳 주력 상품인 참치 가격도 1kg에 4만 원에서 현재는 6만 원에 판매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략 전쟁도 가격 인상의 요인입니다. <br /> <br />이 가게에서 취급하는 수입 수산물 150종류 가운데 러시아에서 들여오는 냉동 수산물이 30~40%를 차지하고 있는데요, <br /> <br />일주일에 한 번 들어오던 물건이 지금은 2~3주는 기다려야 받는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수급 차질은 가격 상승으로도 이어져서 냉동 명란 같은 경우 20만 원에서 24만 원으로 가격이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이곳 대표는 화물연대 파업 이후 상황 더욱 악화했다고 말합니다. <br /> <br />부산이나 인천에서 수입한 물건을 컨테이너 차량으로 옮겨야 하는데 세관에 발이 묶여 있는 겁니다. <br /> <br />화물연대 파업 이후 물량의 10% 정도가 아예 공급이 안 되면서 새우, 소라, 주꾸미, 오징어 등 전반적인 품목 수급이 영향받았습니다. <br /> <br />아직 가격 영향은 크지 않지만, 장기적으로는 가격이 치솟는 건 시간 문제라고 얘기합니다. <br /> <br />이곳 시장에서 젓갈을 판매하는 또 다른 상인도 화물연대 파업 장기화로 원자재 수급이 안 돼 중국 완제품도 못 들어올 수 있어 우려가 크다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수입 과일 역시 유가 등에 영향을 받는 대표적인 품목인데, 상황이 어떻습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마포농수산물 시장에서 수입 과일을 취급하는 상인들과도 이야기 나눠봤는데요, <br /> <br />수입 과일마저 물류 비용 증가로 가격이 크게 올라 부담이 큰 상황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한 상인은 작년엔 오렌지 18kg을 5만 원에 들여왔다면, ... (중략)<br /><br />YTN 황보혜경 (bohk1013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20614095249004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