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우리 경제를 위협하는 건 이 뿐만이 아닙니다. <br> <br>엎친데 덮친격. <br> <br>8일째 이어지는 화물연대 파업 장기화로 국내 물류망이 꽉 막히면서 유통에 동맥경화 현상이 벌어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바나나, 키위 같은 수입 농산물이 무더운 날씨 속 컨테이너 안에 쌓인채 폐기처분 될 상황에 처했습니다. <br> <br>당장 밥상 물가가 걱정됩니다. <br> <br>백승연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전국 각지의 농수산물이 집결되는 서울 가락시장. <br> <br>과일 도매상의 창고가 군데군데 비어있습니다. <br> <br>[김정훈 / 과일가게 사장] <br>"지금 거의 바닥이 보이고 있잖아요. 지금은 계속 줄어들고 있는 상태예요. 이 창고는 항상 꽉 차 있는 창고인데." <br> <br>글로벌 물류대란으로 고공행진을 이어오던 수입 농수산물 가격은 화물연대 파업까지 겹치면서 천정부지로 치솟았습니다. <br> <br>[김정훈 / 과일가게 사장] <br>"(적포도 한 상자의) 시세가 6만 5천~7만 원 선에서 거래되는데 지금은 아마 9만 원 초반 해도 물건이 없어요." <br> <br>수입 농산물이 국내 항만에 도착해도 배에서 내리지도 못하고 있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[농수산물 수입업자] <br>"저희도 지금 다섯 컨테이너가 묶여 있어요. 인천항도 이제 하역을 시켜줘도 실어 나를 컨테이너 트럭이 없으니까 배에 묶어놓는 거죠." <br> <br>[박현미 / 부산항만물류업체 관계자] <br>"지금 부두에 쌓여 있는 컨테이너를 본다면 테트리스 게임하는 거 있죠? 맨 위 칸에 두 칸 정도 남았다. 그 정도로 쌓여 있다(고 할 수 있습니다.)" <br> <br>컨테이너 하역이 계속 미뤄지면서 폐기 처분도 걱정해야 할 상황입니다. <br> <br>[농수산물 수입업자] <br>"과일은 그나마 좀 버텨내는데 표고(버섯)는 만약 이대로 계속 가면 폐기 처분해야 해요, 그냥." <br> <br>무역업계 화주단체는 물류 정상화를 촉구했습니다. <br> <br>[이관섭 / 한국무역협회 부회장] <br>"운송거부가 장기화될 경우 문을 닫는 중소기업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. 그야말로 경제의 혈관이 막혀서 심장이 멈춰설 지경에 이르렀습니다." <br> <br>석유화학 업계에서도 내일 저녁부터 가동 중단에 들어가는 공장이 나올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백승연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: 강철규 <br>영상편집: 구혜정<br /><br /><br />백승연 기자 bsy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