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이렇게 시행령을 두고 논란이 벌어지는 가운데 법무부가 대통령령으로 법무연수원의 검사 연구위원 정원도 2배 이상 늘리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좌천된 검찰 간부들의 유배지로 꼽히는 곳이라 검찰 추가 인사를 앞두고 긴장감이 돌고 있습니다. <br> <br>구자준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충북 진천에 있는 법무연수원. <br> <br>법무부가 관보를 통해 검사 연구위원 정원을 늘리겠다고 예고한 곳입니다. <br> <br>대통령령 개정을 통해 현재 4명인 검사 정원을 9명으로 늘리겠다는 겁니다. <br> <br>검사 연구위원은 수사나 지휘에서 배제되는 자리여서 좌천된 검찰 간부가 배치되는 한직으로 꼽힙니다. <br><br>지난달 인사에서 이성윤 당시 서울고검장을 포함해 4명이 이곳으로 발령났는데 문재인 정부에서 친정권 성향으로 분류된 검사들입니다. <br><br>이들 만으로도 정원이 가득 차자 일부 검사는 지방 고등검찰청 발령 뒤 연수원에 파견하는 형식을 취하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정원 확대는 추가적인 좌천 인사에 대비하기 위한 것이란 분석이 나옵니다. <br> <br>한동훈 법무부 장관도 추미애 장관 시절 이곳에 좌천된 경험이 있습니다. <br> <br>[한동훈 / 법무부 장관 (지난달 19일 국회 예결위)] <br>"저도 법무연수원에서 근무했는데요. 충실히 근무했던 기억이 있습니다." <br> <br>법무부는 일선 검찰청의 직접 인지수사를 확대하고 특별수사팀을 만들 때 장관 승인을 받도록 한 규정을 폐지하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역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검찰청 사무기구 규정을 바꾸는 일입니다. <br> <br>직제개편이 끝나면 주요 권력사건 수사를 이끌 검찰 중간 간부 인사가 이어질 전망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구자준입니다. <br><br>영상편집 : 배시열<br /><br /><br />구자준 기자 jajoonneam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