여권이 17일 문재인 정부 때 벌어진 ‘서해 공무원 이대준씨 피살 사건’을 “월북 공작 사건”으로 규정하며 총공세를 폈다. 윤석열 대통령,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와 권성동 원내대표 등 여권 수뇌부가 일제히 이 사건의 진상 규명을 강조했고, 감사원은 사건 당시 해양경찰청과 국방부의 대응에 문제가 없는지 감사에 착수했다. 대통령실은 검찰의 재수사 가능성을 언급했고, 국민의힘 일부 의원들은 문재인 전 대통령 등에 대한 수사를 공개 촉구했다. 야권은 “전 정권 지우기”라며 반발하고 있어 신·구 권력이 다시 거세게 충돌할 전망이다. <br /> <br /> 전날 국방부와 해경은 2020년 9월 서해 북방한계선(NLL) 인근에서 표류하던 해양수산부 공무원 이대준씨가 북한군 총격에 사망한 뒤 시신이 불태워진 사건과 관련해 “(사건 당시) 월북 시도를 단정한 것은 잘못됐다”고 발표했다. 같은 날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은 이씨 유가족이 안보실을 상대로 제기한 정보 공개 청구 소송의 항소도 취하했다. 사건 관련 정보의 일부 공개를 명한 1심 판결이 곧 확정된다는 의미다. 정권 교체 이후 이 사건에 대한 정부 대응이 1년 9개월 만에 정반대로 달라진 셈이다. <br /> <br />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출근길에 만난 기자들이 ‘정부 판단이 번복된 것을 어떻게 생각하느냐’고 묻자 “내가 직접 관여할 문제는 아니지만 앞으로 더 (진상 규명이) 진행될 것”이라며 “조금 기다려보자”고 답했다. 이 사건과 관련한 정부 차원의 추가적인 진상 규명 조치를 시사한 것이다. 윤 대통령의 발언 뒤 대통령실 관계자는 취재진과 만나 “유가족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밝히면 검찰 재수사가 가능하다”고 말했다. 전 정권에서 벌어진 사건의 검찰 수사 가능성을 ...<br /><br />기사 원문 : https://www.joongang.co.kr/article/25079989?cloc=dailymotion</a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