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반도체 인력 양성 속도전...'숫자 맞추기' 급급 우려 / YTN

2022-06-17 47 Dailymotion

윤석열 대통령이 반도체 인력 양성을 사실상 국정 개혁과제 1호로 꺼내 들자 교육부는 다음 달 관련 대책을 내놓을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학과 증설부터 대학 지원과 규제 철폐까지 속도전이 이어지고 있는데, 관련 산업에 대한 정확한 이해 없이 '숫자 맞추기'에만 급급해선 안 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김현아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교육부가 내놓을 인력 양성안은 중소기업과 대기업, 반도체 제조 기업에서 관련 소부장 기업까지, 필요한 모든 수준의 '반도체 인력 양성'에 방점을 찍는 분위기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대체 얼마나 어떤 인력이 필요할지 데이터부터 엇갈립니다. <br /> <br />한국산업기술진흥원은 연간 1,600여 명이, 한국반도체산업협회는 3천여 명이 부족하다 하고 주요기업의 올해 채용 예정 인원을 고려하면 1만 명 수준에 이른다는 전망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원하는 인력도 제각각입니다. <br /> <br />중소기업은 고졸과 전문대생이 급하지만 대기업은 석박사 인력난에 시달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게다가 반도체라고는 해도 설계와 공정, 소재·장비와 차세대 칩 연구 등에서 필요한 인력은 전혀 달라서, 어떤 분야에서 얼마나 인력을 키울지에 대한 검토가 우선돼야 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[최병욱 / 한밭대 총장 : 사실 반도체라는 게 융합분야이지 않습니까. 전자공학과도 있고요, 관련해서 신소재공학과, 화공과 그다음에 생산관리 프로세스관리 이런 쪽의 전문가들이 다 필요한 건데 그럼 반도체 학과에선 학부에서 이것들을 다 가르칠 것인지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.] <br /> <br />반도체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고급인력 육성 대책은 더 구멍이 많습니다. <br /> <br />당장 석박사를 가르칠 교수가 부족한데 산학교수로는 한계가 있고, 서울대도 27년 된 장비를 쓸 정도로 연구 환경이 열악하지만 정부 재원은 이제 확보해가야 하는 단계입니다. <br /> <br />민관 공동투자 반도체 고급인력 양성사업 <br /> <br />10년간 사업비 : 3,500억 -> 2,180억 (37.8% 삭감) - 민·관 각 50% 부담 <br /> <br />[인터뷰: 황 철 성 / 서울대 재료공학부 석좌교수 : 대충 (연간) 110억 정도를 투자한다는 얘기죠. 여기에 문제가 있습니다. 여기에. 정부가 반도체 분야 연구비를 너무 투자를 안 합니다. 그러다 보니까 인력을 양성할 수 없는 거예요.] <br /> <br />게다가 수도권 계약학과가 늘어나면 지방대는 무슨 수단을 써도 고사할 거란 위기감이 팽배하고 <br /> <br />이제까지 반도체 업계로 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현아 (kimhaha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20618061623126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