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 시청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.<br> <br> 뉴스에이, 조수빈입니다. <br> <br> 2년 전엔 월북이라더니, 이제는 아니다, 서해 공무원 피격 사건을 둘러싼 공방이 뜨겁습니다. <br> <br> 먼저 국민의힘은 진실을 봉인하지 말라며, 문 대통령의 입장을 요구했습니다. <br> <br> 하지만 민주당은 안보를 정쟁화하지 말라며, 대통령 기록물 공개에도 협조하지 않겠다고 했습니다. <br> <br> 반면 유족들은 긴 기다림 끝에 희망을 보고 있습니다.<br> <br> 고인의 부인과 2년 만에 인터뷰한 내용, 잠시 뒤에 보내드리고요. <br> <br> 먼저 정치권 상황부터 최수연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국민의힘은 문재인 전 대통령이 직접 서해 공무원 피격 사건에 대한 입장을 밝혀야 한다며 압박 수위를 높였습니다. <br><br>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"세월호의 진실은 인양하겠다면서 왜 서해 피격 공무원의 진실은 무려 15년 동안 봉인하려고 했냐"며 "국민적 의혹 앞에 문 전 대통령은 입장을 표명해야 한다"고 주장했습니다.<br> <br>그러면서 "민주당이 떳떳하다면 마다할 이유가 없다"며 국회 차원에서 대통령 기록물을 공개하자고 했습니다. <br> <br>하태경 의원은 자진 월북으로 사건을 종결하도록 몰아간 '월북 조작 사건'이라며 공세를 이어갔습니다. <br><br>하 의원은 "해경이 어제 충격적인 보고를 하고 돌아갔다"면서 "해경은 월북의 핵심 증거인 '감청 자료' 전문을 보지 못하고 성급하게 결론 내렸다"고 주장했습니다.<br> <br>민주당은 민생이 중요한데 전 정권 지우기에만 몰두한다고 비판했습니다. <br> <br>[우상호 / 더불어민주당 비대위원장(어제)] <br>" 오히려 그건 북한 눈치를 본 게 아니라 북한을 굴복시킨 거잖아요.그런 거 하실 때인가, 민생이 지금 굉장히 심각한데 저는 잘 모르겠는데 왜 그거 하시죠. " <br> <br>대통령 기록물 공개에도 협조할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. <br><br>민주당 관계자는 "대통령 기록물을 공개해도 되지만 지금으로서는 정부여당의 안보 정쟁화에 협조할 생각이 없는 것"이라고 말했습니다.<br> <br>감사원이 다음주부터 해경과 국방부 등을 대상으로 본격적인 감사에 나서는 가운데, 보고 체계의 윗선인 청와대까지 감사 범위가 확대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최수연입니다. <br><br>영상편집 이혜진<br /><br /><br />최수연 기자 newsy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