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난주 2년여 만에 최악의 한 주를 보낸 뉴욕 증시가 이번 주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 의장의 의회 증언에 따라 또 출렁일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비트코인 가격은 2만 달러에 이어 1만9천 달러 선도 내주며 바닥 모를 추락을 이어갔습니다. <br /> <br />국제부 취재 기자 연결합니다. 이종수 기자! <br /> <br />약세장에 들어선 뉴욕증시를 다시 강타할 수 있는 미 연준 의장 의회 증언이 이번 주에 있군요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현지 시간 오는 22일과 23일에 파월 미 연준 의장이 미 상·하원 증언에 나섭니다. <br /> <br />파월 의장은 지난주에 극심한 인플레 통제를 위한 잇단 자이언트 스텝, 즉 0.75%포인트 금리 인상을 열어두면서 <br /> <br />경제 지표 둔화에도 여전히 소비가 강하고 노동시장은 타이트하다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파월 의장이 이번 의회 증언에서 이런 자신의 경제 진단에 대한 시장의 신뢰를 회복할 수 있을지 주목받고 있는 겁니다. <br /> <br /> <br />이미 약세장에 진입한 미 증시가 파월 의장 발언에 따라 다시 요동칠 수도 있겠군요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뉴욕 증시는 고점에 비해 20% 이상 하락한 약세장에 진입했습니다. <br /> <br />S&P500지수가 지난주 1월 고점 대비 24% 하락했고요 <br /> <br />다우지수는 1년 5개월 만에 3만 선을 내줬습니다. <br /> <br />나스닥은 11월 기록한 고점 대비 33% 이상 하락하며 약세장이 더 깊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주가가 이미 상당 수준 조정을 받았지만 전문가들은 여전히 추가 하락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전문가들이 여전히 추가 하락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는 이유는 뭡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경제 둔화를 보여주는 지표들이 잇따르면서 연준 대응이 늦었다고 비판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주 나온 소매판매는 전달보다 0.3% 줄었고, 주택착공 실적은 14% 감소한 것으로 나왔죠 <br /> <br />통화정책이 경제에 스며드는 데 상당한 시일이 걸린다는 점에서 연준이 8%를 웃도는 고물가를 잡기엔 늦었다는 지적입니다. <br /> <br />뱅크오브아메리카는 보고서에서 "연준을 둘러싼 최악의 우려는 이미 확인됐다. 추세에서 한참 뒤처져 이제 이를 따라잡는 위험한 게임을 하고 있다"고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습니다. <br /> <br />JP모건도 지난 금요일자 보고서에서 "앞으로 2년간 침체에 빠질 가능성이 63%, 3년간 경기침체에 빠질 가능성은 81%에 달한다"며 연준이 연착륙을 시킬 수 있을지에 회의론을 폈습니다. <br /> <br />파월이 이번 의회 증언에서 이러한 우려와 회의론을 진정시킬 수 있을지... (중략)<br /><br />YTN 이종수 (jslee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20619095004882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