국제외교 '뜨거운' 일주일…전쟁·에너지·식량위기 해법 모색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우크라이나 전쟁에 인플레이션, 그리고 고유가와 식량위기까지 전세계 어느 나라도 이들 현안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상황에 처해있는데요.<br /><br />오는 23일부터 일주일간 잇달아 열리는 여러 국제 다자 외교안보회의에서 어떤 해법들이 나올지 주목됩니다.<br /><br />한미희 기자의 보도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오는 23일부터 이틀 동안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리는 유럽연합 EU정상회의에선 우크라이나의 EU 가입 후보국 지위 부여 여부가 다뤄집니다.<br /><br />이미 EU 집행위원회가 후보국 지위 부여 의견을 제시한 가운데 27개 회원국이 만장일치로 승인하면 우크라이나는 EU 가입의 첫 단추를 꿰게 됩니다.<br /><br />이어 26일부터 사흘간 독일에선 주요 7개국, G7 정상회의가 개최됩니다.<br /><br />정상들은 우크라이나 사태와 식량 및 에너지 위기, 기후변화 대처와 보건 문제 등을 두고 머리를 맞댑니다.<br /><br />특히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이번 회의에서 인도-태평양 지역을 위주로 중국 야심에 대항할 '세계 인프라' 구상을 발표합니다.<br /><br />미 백악관은 "바이든 행정부의 남은 임기 외교 정책의 각인 중 하나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"고 밝혔고, 중국 정부는 "'제로섬 게임' 접근을 토대로 하고 있다"며 "아무런 지지를 얻지 못할 것"이라고 비판했습니다.<br /><br />또 하나의 외교 이벤트는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열리는 나토 정상회의입니다.<br /><br />한국과 일본 정상도 처음으로 참석하는 이번 회의에서는 중국의 위협에 대응한 새로운 '전략개념'을 채택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 "우리는 NATO의 다음 전략적 개념에 동의할 것입니다. 변화된 안보환경을 평가하고 우리의 근본적 가치와 과제를 재확인할 것입니다."<br /><br />우크라이나 전쟁 상황 평가를 비롯해 핀란드와 스웨덴의 신규 가입, 유럽 동부 경계선에서의 준비태세 강화 방안 등이 주요 의제로 다뤄집니다.<br /><br />이런 서방의 외교 전선에 맞서듯 브라질, 러시아, 인도, 중국,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5개 나라가 속한 브릭스 정상회의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주도로 23일 화상으로 열립니다.<br /><br />신냉전으로 불리는 미국·유럽과 중국·러시아의 대치 양상이 이들 대형 다자외교무대에서 선명히 드러날 것으로 예상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 한미희입니다.<br /><br />#유럽_미국_중국 #우크라이나_러시아 #나토_브릭스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