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“떳떳하면 공개하라”는 여당의 비판에 민주당도역공으로 전환했습니다. <br> <br>대통령 기록물은 공개하지 않더라도 필요하면, 월북 판단의 근거가 됐던 특수정보들을 윤석열 대통령이 공개하라는 겁니다. <br> <br>김성규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더불어민주당이 국민의힘을 향해 서해 공무원의 월북 판단 근거가 된 특수정보, SI를 공개하자고 역제안 했습니다. <br><br>SI는 군 감청이나 도청 등을 통해 얻은 북한 내부의 내밀한 정보를 말합니다.<br> <br>[우상호 / 더불어민주당 비대위원장] <br>“공개하자고요, 협조해드릴게요. 근데 그게 맞아요? <br>저는 내용 다 봤는데 왜 월북이라고 정보를 분석했는지 내용도 다 들었는데 뭐 공개하면 되죠.” <br> <br>어제까지만 해도 우리 군과 미군의 정보 자산이 노출될 수 있다며 정보 공개에 부정적이었지만 대통령기록물을 공개하자는 국민의힘의 공세가 계속되자 입장을 바꿔 역공에 나선 겁니다. <br> <br>민주당 전반기 국회 국방위원들도 기자회견을 열어 국민의힘이 원한다면 비공개 국방위 속기록을 공개하는데 협조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그것도 부족하면 윤석열 정부 책임 하에 SI를 공개하라며 공을 넘겼습니다. <br> <br>[김병주 / 더불어민주당 의원] <br>"(비공개 회의록 공개) 이것으로도 의문이 풀리지 않는다면 윤석열 정부의 판단 아래 미국 측의 협조를 받아 당시 SI(특수) 정보를 공개하면 됩니다." <br> <br>그러면서 "민감한 정보 출처가 관련돼 있는 만큼 대한민국 안보에 해악이 뒤따른다"고 경고했습니다. <br><br>문재인 청와대에서 국정기획상황실장을 지낸 민주당 윤건영 의원은 여권의 공세를 두고 "2012년 NLL 대화록 사건이 연상된 "며 <br>"일종의 ‘신북풍’"이라고 비판했습니다. <br> <br>그런 가운데 설훈 의원이 서해 공무원 피격 사건을 두고 "아무것도 아니다"라고 했다가 황급히 해당 발언을 주워 담았지만, 발언의 적절성을 두고 논란이 일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, 김성규입니다.<br><br>영상취재 : 이철 <br>영상편집 : 김민정<br /><br /><br />김성규 기자 sunggyu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