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뉴스에이 시작합니다.<br> <br>저는 동정민입니다. <br> <br>공무원 이대준 씨 서해 피격 사건, 대통령 기록물은 봉인됐지만, 진실을 찾으려는 새로운 정황들이 조각조각 나오고 있습니다. <br> <br>누가 월북한 거라고 결정했을까, 당시 공개적으로 발표한 건 이 공무원이었는데요. <br> <br>[윤성현 당시 해양경찰청 수사정보국장 ] <br>“월북으로 판단됩니다” <br> <br>예정된 발표자는 따로 있었는데, 자진 월북을 단정하는 발표에 난색을 표해 윤성현 국장으로 바뀌었다는 주장이 나왔습니다. <br> <br>윤 국장은 “나는 지휘부가 작성해준 대로 읽었다”고 해명했습니다. <br> <br>먼저 조현진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2년 전 해경의 공무원 피격 사건 발표는 닷새 만에 톤이 완전히 달라졌습니다. <br> <br>발표 장소도, 브리핑 담당자도 달랐습니다. <br><br>[신동삼 / 인천 해양경찰서장(2020년 9월 24일)] <br>"자진 월북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어…"<br> <br>[윤성현 / 당시 해양경찰청 수사정보국장(2020년 9월 29일)] <br>"실종자는 월북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."<br><br>해경의 발표는 2년 만에 또 180도 달라졌습니다. <br><br>[박상춘 / 인천해양경찰서장(지난 16일)] <br>"월북 의도를 인정할 만한 증거는 발견하지 못했습니다." <br><br>사건 직후 첫 브리핑을 했던 담당자가 '월북으로 보인다'는 문구에 부담을 느끼자 해경 윗선에서 담당자를 바꿨다는 주장도 나왔습니다.<br> <br>하지만, '월북을 판단'했던 윤성현 현 남해해양경찰청장은 검토끝에 나온 결론이라고 말했습니다. <br><br>[윤성현 / 현 남해해양경찰청장]02 08~02 24 <br>"해경 지휘부가 몇 번의 검토를 거쳐서 작성된 발표문안을 브리퍼로 지정된 제가 국민들께 나름대로 성실하게 답변을 드린 것입니다."<br> <br>청와대 등의 지시는 없었다고 주장했습니다.<br> <br>[윤성현 / 현 남해해양경찰청장]<br>지시는 없었고, 그 부분에 있어서는 아마 응분의 감사원 조사가 있을 거니까 사실 그거는 거기서 얘기를 하는 게 맞을 거 같아요. <br><br>윤 국장은 부산 남해지방해양경찰청장으로 승진했고, 당시 사건을 직접 수사했던 해경 3명도 줄줄이 간부급으로 승진했습니다. <br> <br>또 7명의 전문가 중 딱 1명으로부터 피살 공무원이 '정신적 공황' 상태라는 소견을 받아낸 정보국 직원 2명도 영전했습니다. <br><br>해경은 당시 최종 책임자가 누구였는지는 "말할 수 없다"며 "관련 의혹은 확인 중"이라고 말을 아꼈습니다.<br> <br>해경 내부는 부글부글 끓고 있습니다. <br><br>해경 수사 결과 번복 이후 내부에서는 지휘부를 비판하는 글들이 잇따라 올라오고 있습니다.<br><br>"권력과 진급의 달콤함만 맛보려 하고 책임은 지기 싫은가" "정권의 하수인인가"라는 비아냥이 쏟아졌습니다.<br> <br>채널A 뉴스 조현진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: 박희현 <br>영상편집 : 차태윤<br /><br /><br />조현진 기자 jjin@donga.com